기자명 김벼리기자
  • 입력 2016.03.17 15:29

국내 거주 외국인 10년 새 두 배 증가…외국인 장기임대시장 전국 확산

최근 국내 거주 외국인이 늘어남에 따라 서울 이태원 근지에 국한됐던 외국인 거주 지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주택 매매보단 장기 임대를 선호해, 해당 지역에서 외국인을 노리는 월세시장이 뜨거워지고 있는 양상이다.

행정자치부 발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거주 외국인 수는 174만1919명이었다. 2006년 54만명이었지만 10년 새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이들의 직업군도 다양해졌다. 예전에는 미군 혹은 대사관 관계자가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외국계 기업 임직원, 사업가 등으로 수요군도 확돼됐다. 

임대업자, 외국인 장기임대 수요 잡아라
국내에서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주택을 직접 구매하는 것보다 장기임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단기간 거주, 세금부담 경감 등 여러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임대업자들도 외국인들의 이러한 선호를 두 팔 벌려 환영한다. 일반적으로 한국 세입자들은 중대형 주택을 꺼려하지만, 외국인들은 중대형 주택을 주로 찾는다. 특히 고급주상복합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경우는 근무지에서 임대료를 대신 내 주는 경우가 많아 비싼 월세에 대한 부담이 적다. 때문에 외국인 대상 임대차시장은 월세가 300만원, 심지어 1000만원이 넘는 경우도 많다.

사실 외국인 집단 주거지의 월세는 다른 지역에 비해 기본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편이다. ‘KB부동산시세’에 따르면, 보증금 2000만원 기준 일본인들이 주로 모여 사는 용산구 이촌동의 한 아파트는 같은 지역에 위치한 일반 아파트에 비해 월세가 20만원정도 높았다.

결정적으로 외국인 세입자는 보통 2년 월세 계약시 일괄지급하는 경우가 많다. 소위 ‘럼섬프리페이먼트(Lump Sum Prepament)’, 시쳇말로는 ‘깔세’라고 알려진 방식이다. 잠재적 가치가 현재가치로 바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체감수익률이 높다.

거제, 평택, 송도 등 외국인 장기임대 확대
이렇게 최근 외국인 장기임대시장이 각광받기 시작하고 있는 중에, 한국살이 외국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있던 시장이 다른 지역으로 퍼지고 있다.

확산 양상은 크게 서울과 지방으로 나뉜다. 우선, 서울에서는 기존에 외국인이 많이 머물던 이태원, 한남동 등지에서부터 강남, 마포 등지로 범위가 차츰 넓어져 가는 양상이다.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이른바 동심원 형태를 띠는 것이다. 이는 타지에서 외국인 밀집 지역에서 주거지를 찾으려는 심리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반면, 지방은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외국인 장기임대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형국이다.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경남 거제시, 경기 평택시, 인천 송도국제도시 등이 있다.

이곳들은 모두 외국인 거주자 비중이 높고, 앞으로 더 높아질 수 있는 요인을 갖추고 있다.

경남 거제시 같은 경우는 2020년 완료 예정인 ‘거제해양휴양특구 조성 사업’에 선정됐고, 국내에서 국제학력을 딸 수 있는 ‘힐사이드 컬리지잇’ 등이 9월 문을 연다. 앞으로 외국인들 수요가 더 많아지리라 예상하는 까닭이다.

뿐만 아니라, 이미 거제 조선소로 유럽 각국의 엔지니어나 인수업체 감리관계자 1~2년 체류하러 많이 오고 있다. 작년에 실시한 행자부 조사에 따르면, 거제시 거주인구 중 6.6%가 외국인이었다.

평택시 같은 경우에는 올해 전국 50여 미군부대가 이전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군인, 군무원 등 평택으로 유입될 인원수만가 8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송도국제도시도 마찬가지다. 이미 세계은행 등 13개 국제기구가 들어서 있다. 최근에는 올림푸스, 미쓰비시 등 다국적 기업이 들어서고 있다.

이 지역들에는 아예 외국인 임대를 겨냥한 신규 분양아파트가 속속들이 들어서고 있는 상황이다.

김혜현 센추리21코리아 전략기획실장은 “한번에 고가(高價)를 챙길 수 있어 외국인 임대사업에 관심을 갖는 투자 수요가 많다”면서도 “외국인 대상 임대사업에 뛰어들기 전에 임대 수요나 외국인 학교 여부 등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