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2.12 12:00

장인섭 GIST 교수 연구팀

우측 상단의 경우 직렬연결과정에서 전압역전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의 셀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래프 A에서와 같이 모든 셀의 전압이 +전압을 형성하고 있다. (그림제공=연구재단)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미생물 연료전지는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전기도 생산할 수 있는 미래에너지이지만 효율이 낮아 실용화가 어려웠다.  

땀으로 충전되는 웨어러블 기기, 처리장 하수를 활용한 전력생산 등 미생물 연료전지에 대한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실용화를 앞당길 연구결과가 소개되었다.

장인섭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연구팀이 미생물 연료전지 실용화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인 전압역전현상을 극복할 방안을 제안했다.

바이오연료전지는 이론적 발생전압이 낮기 때문에 단위셀을 길이방향, 즉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출력을 높이는데 이 과정에서 단위셀의 전압이 역전되는 전압역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실용화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였다.

이 현상에 대한 특징과 추정 원인들에 대한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해결에 대한 실마리는 찾지 못한 상태였다.

연구팀 역시 전압역전현상의 발생원인에 대한 심층연구를 수행, 역전현상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음극부, 양극부 등 각 부분별로 확인한 연구결과를 여러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를 지속한 결과 연구팀은 전압역전의 근본적인 원인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셀들 간의 성능 차이 때문임을 알아냈다.

단위셀 내 양극과 음극의 반응속도 차이 또는 단위셀간 성능의 불균형을 최소화 하는 것이 해결책임을 알게 됐다.

각 셀들의 전류생산 능력이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이들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산화환원효소를 사용하는 극소형 효소연료전지 시스템 집적화에 제안한 방식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며 미생물연료전지 매크로시스템의 효율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트렌드인 바이오테크놀로지에 1월 21일 게재됐다. 

장인섭(왼쪽) 교수, 김봉규 박사 (사진제공=연구재단)
장인섭(왼쪽) 교수, 김봉규 박사 (사진제공=연구재단)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