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20.02.19 12:15

전문가 "1·2차 의료기관 방역시스템 취약…환자 뒤섞이면 큰 혼란 올수도"

(사진=YTN뉴스 캡처)
(사진=YTN뉴스 캡처)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지역사회에서 쏟아져 나오면서 국가 방역시스템을 위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감염 확산이 현실화된 만큼 지금이라도 코로나19에 대한 중장기적 방역 전략을 다시 짜야한다고 강조한다.

지역사회 감염이란 감염원의 역학적 연결고리 없이 전파되는 상황을 말한다. 이른바 감염원을 모르는 '오리무중 확진자'의 출현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도 기자 브리핑에서 "국내외 상황을 반영할 때 코로나19 발생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환자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한편으로 국내 지역사회까지 감시해야 하는 이중고를 표출한 것이다.

문제는 감염원을 모르는 환자들이 얼마나 퍼져 있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이들이 감시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지역사회 확산은 물론 건강 취약계층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우주 고대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자가 초기 발열과 호흡기 증상만으로 방역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1차 의원급이나 중소병원을 이용할 경우, 일반 환자와 뒤섞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현재 대학병원을 비롯한 상급의료기관은 선별진료소를 갖춰 일반환자와 발열환자의 동선을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1·2차 의료기관의 경우, 증상과 상관없이 환자를 제한 없이 진료하고 있어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확진자 중에는 1차 개원가를 거쳐 대학병으로 간 환자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김 교수는 “29번 환자의 경우 감기 정도 증상으로 병원과 약국을 방문했다”며 “감염자를 기존의 의료시스템과 섞일 가능성을 예상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중국에서 사망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면역력이 약한 고령층, 만성질환자, 폐질환자들이다. 기존 의료시스템이 붕괴되고, 고위험군이 감염되면 이들이 치료를 받지 못해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 교수는 감염원이 밝혀지지 않는 환자가 속출하는 상황에선 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의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에선 전국 57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환자를 전수조사하고 있다. 이 같은 감시시스템을 감염자가 발생한 지역으로 확대해 초기증상으로 내원한 환자 모두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감염자가 늘어나고 중증환자가 발생할 경우 의료기관마다의 기능과 역할도 분배돼야 한다. 예컨대 경증과 중등도, 중증, 위중환자로 분류해 중앙의 콘트롤 타워에서 환자를 배분해야 혼란을 잠재우고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있다.

김 교수는 “방역 당국의 어려움이 가중되겠지만 앞으로는 고령자와 만성질환자, 폐질환자, 영유아 및 임신부, 흡연자 등 중증으로 갈 수 있는 환자를 보호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