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20.03.19 11:40

병협, "경영구조 취약한 중소병원·지방병원일 수록 환자감소 심해"

(사진=KBS뉴스 캡처)
(사진=KBS뉴스 캡처)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악화가 전방위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기관 역시 예외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 사태의 학습효과로 내원 환자에 대한 방역활동은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날로 줄어드는 환자에는 속절없이 애만 끓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대한병원협회가 19일, 전국 병원 9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입원 및 외래환자 동향 조사에서 드러났다.

병협 자료에 따르면 입원환자 수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1월과 2월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평균 3.68%와 3.49% 감소했다. 그러다 사태가 악화된 3월에는 입원환자 수가 평균 26.44% 급감했다.

이 같은 환자감소 현상은 병원 규모가 작을수록 폭을 넓혔다. 대학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환자 감소율은 16.68%였지만 종합병원과 병원급은 각각 27.05%와 34.15%로 급감한 것이다. 이는 대학병원급의 경우, 치료를 미룰 수 없는 중증질환이 많지만 동네병원이나 중소병원급은 완급을 조절할 수 있는 질환이 대부분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외래환자 감소 역시 병원 규모가 작을수록 타격이 심했다. 이달의 외래환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상급종합병원은 26.09%, 종합병원 23.31%, 병원급은 46.68%로 떨어졌다. 

환자 감소는 곧바로 경영악화로 이어진다. 병원은 지출의 50% 내외가 인건비로 지급될 정도로 대표적인 노동집약산업이다. 게다가 의료인력 뿐 아니라 행정·관리·급식 등 모든 직종이 필수인력인데다 피라미드 형태의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도 강구하기 어렵다.

이 같은 사정을 아는 정부도 환자급감에 따른 병원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요양급여비 선지급' 특례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지급한 진료비를 기준으로 3~4월치를 미리 지급해 긴급 운영자금으로 사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특례 적용 기준이 까다로워 실제 선지급을 받는 병원이 많지 않다는 점이 병원계의 불만을 사고 있다. 병협은 이날 180여 병원이 선지급을 요청했지만 실제 적용된 곳은 13곳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병협은 “금융권에서 융자를 받은 병원은 중복 지원할 수 없다는 논리로 제외됐다”며 “이런 병원일수록 경영압박이 심하기 때문에 정부가 조건없이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상황이 한두 달 내에 끝날 것 같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경영구조가 취약한 중소병원이나 지방 의료기관의 경우 병원 도산이 속출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 경기도의 한 중소병원은 13일자로 응급실을 폐쇄하면서 관련 의사 3명을 퇴직시키는 한편 간호사 8명에게는 사직 또는 다른 병동 근무를 선택하도록 권했다. 이 병원이 운영하는 응급실은 해당 지역에 있는 2개 응급실 중 하나로 지역 의료시스템의 붕괴마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병협의 한 관계자는 “병원 직원 월급을 주기위해 대출을 받는 병원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지역사회에서 언제라도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일선을 지키는 의료기관의 어려움에 정부가 귀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