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벼리기자
  • 입력 2016.03.22 15:57

정부가 인공지능(AI)기술을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7일 AI 및 소프트웨어(SW) 관련 기업인 및 전문가 2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지능정보사회 민관합동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진형 SW정책연구소장, 김대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등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AI 기술에 대해 사람 중심의 실용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ICT 분야에서의 강점과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능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른 중장기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

지능정보는 인공지능보다 넓은 개념이다. 지능정보에는 인공지능의 ‘지능’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정보’ 기술 분야까지 포함된다.

이후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미래부는 연구개발, 전문인력 확충, 데이터 인프라, 산업 생태계, 융합산업 육성 등에 향후 5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2조5000억원 이상의 민간 투자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 장관은 “앞으로 기업형 연구소 형태의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를 설립할 것”이라며 “이곳에서는 민·관 협력 하에 국가 연구 역량과 데이터를 하나로 결집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연구소에는 삼성전자·LG전자, SK텔레콤과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6개 기업이 참여하기로 했다. 참여 기업들이 30억원씩을 출자해 총 연구인력 50명 안팎의 규모로 연구소를 열기로 했다.

지난 2014년 12월 17일 박근혜 대통령이 경북 구미시 소재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기어VR'를 통해 석굴암을 가상체험하고 있다.

연구소의 역할은 지능정보기술의 R&D와 사업화, 지능정보산업을 위한 데이터 결집·협업 등이다. 여기에 핵심 지능정보기술 확보 및 응용기술 연구도 병행하게 된다.

특히, 연구소는 언어지능, 시각지능, 공간지능, 감성지능, 요약·창작지능 등 5개 분야의 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을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정해 집중 연구한다. 응용 분야뿐만 아니라 수퍼컴퓨터, 신경칩, 뇌과학·뇌구조, 산업수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 대한 연구도 정부가 지원할 예정이다.

연구소를 중심으로 데이터 인프라 구축도 진행된다. 정부·기업·연구소 등이 각각 구축한 데이터의 공유·이용을 촉진해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의료·문화·금융 등 분야별로 국내 민간·정부가 보유한 데이터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 정보 서비스를 추진하고, 언어·시각·감성 등 지능 분야별 연구용 데이터베이스 및 전문지식 DB(의료·법률·특허 등)를 구축해 공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컴퓨팅 자원, 지능정보 SW(언어·시각지능 등), 전문지식 DB를 활용한 전문가 시스템 등 산업 인프라를 갖춰 이를 벤처기업 등에 제공한다. 이에 더해 코리아IT펀드(KIF) 등을 활용, 지능정보기술 분야 스타트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분석 전문가, 인공지능 SW 개발자 등 새로운 수요가 생길 전문인력을 선제적으로 양성해 전문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