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20.04.03 18:50

정부, 그동안 축적된 임상빅데이터 개방하자 18개국서 연구자 몰려 60건 연구신청

(사진=MBC뉴스 캡처)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같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됐어도 왜 사람마다 증상이 다를까’, '기저질환과 나이에 따라 중증도로 이환되는 확률과 위험도는 왜 차이가 날까’. 만일 이러한 예측이 가능하다면 환자가 입원한 초기부터 치료방식을 달리할 수 있고,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다.

한국 정부가 그동안 축적된 코로나19 관련 임상 빅데이터를 해외에 공개하면서 최선의 치료방법과 적정한 의료자원 분배를 위한 국제연구가 활기를 띨 조짐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혹독한 대가를 치뤘지만 이를 통해 획득한 엄청난 양의 임상정보가 오히려 우리나라 보건의료 수준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보유한 코로나19 상세 데이터는 지난달 25일 기준 3만2083명분에 이른다. 의료기관이 청구한 검사와 치료, 약제 그리고 이에 따른 비용 등 다양하다.

정부는 이 빅데이터를 국제 임상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공개하기를 결정하고 사이트(https://covid19data.hira.or.kr)를 만들어 지난달 27일부터 공개하기 시작했다. 당일 이후 가입한 회원은 18개국 291명에 이르고, 이들 중 다수가 60건의 연구신청을 했다.

데이터를 제공받은 연구자는 '데이터 제공계약'(Data Agreement)에 따라 한국 정부에 '선(先)제공 및 공개'(Open Access)를 해야 한다. 연구자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대신 연구결과를 한국에 먼저 제공해야 할 뿐 아니라, 논문을 다운로드할 때 출판수수료를 무료로 하는 방식이다. 우리가 연구 결과를 가장 먼저 공유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보건의료계가 가장 기대하는 분야는 고위험군환자의 유형별 위험도 정량화와 예후예측 모델 개발이다. 예컨대 환자가 어떤 기저질환을 보유했을 때, 또 나이에 따라 진행하는 중증도와 완치확률을 빅데이터를 이용하면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위험도를 정량화할 수 있으면 환자에 따라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치료성적을 높이면서도 의료비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3일 이와 관련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어 임상연구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영상으로 진행된 회의에는 한국역학회와 감염학회 등 6개 학회 , 복지부와 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심평원 빅데이터연구부, 8개 의대병원 및 암센터 등 관계자 18명이 참석했다.

회의에 참석한 학회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나라마다 의료정책의 틀을 바꿔야 할 정도 혼란과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임상데이터 개방이 연구 소재로써 훌륭한 국제적인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