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4.07 12:00

정성필, 이석헌 KIST 박사 연구팀

마그네슘이 추가 전처리가 적용된 경우, 막 증류 공정 분리막의 막오염이 제어되는 기작 개요도
마그네슘이 추가 전처리가 적용된 경우, 막 증류 공정 분리막의 막오염이 제어된다. (그림제공=KIST)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정성필, 이석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 박사팀이 해수담수화 기술 중 하나인 막증류 공정에 적용 가능한 분리막이 오염되거나 젖지 않도록 하는 마그네슘 투입 전처리 공정을 개발했다.

해수담수화 기술 중 하나인 막증류 공정은 해수를 가열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소수성 분리막을 통과시켜 해수와 수증기를 분리한 후 응축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막증류 공정에서는 분리막 표면에서 막오염이 발생하며, 막증류 공정에서의 독특한 현상인 막젖음이 발생한다. 막 오염에 의하여 담수 생산 속도가 감소하거나, 분리막의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경우 담수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IST 연구진은 막증류 공정을 모니터링하여 탄산칼슘(CaCO3)과 황산칼슘(CaSO4) 결정이 분리막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막오염의 주요 원인임을 확인했다.

탄산칼슘은 운전 초기부터 형성되어 분리막의 부분 막젖음을 유발하고, 황산칼슘의 형성은 완전한 막젖음을 발생시켜 운전 중단을 유발함을 규명했다. 

해수담수화 공정에서 칼슘계 결정에 의한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케일방지제가 대표적으로 적용되어 왔으며, 막증류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써 화학적 연수화기술이 적용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스케일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기물인 스케일방지제가 유입수의 표면장력을 낮춰 막젖음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화학적 연수화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연수화 과정에서 형성된 결정들을 제거하기 위한 대규모 침전 공정이 추가로 필요한 어려움이 있다.

정성필 박사팀은 바닷물에 마그네슘을 투입하는 전처리 공정을 최초로 제안했다.

마그네슘은 바닷물 속에 존재하는 탄산 및 황산이온과 결합하려 하므로, 탄산칼슘 및 황산칼슘의 형성을 막아 분리막 오염이 효과적으로 지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투입되는 염화마그네슘(MgCl2)이 무기물질이기 때문에 소수성 분리막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정성필 박사는 “소수성 분리막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담수화 효율이 높아지고 분리막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무기물 기반의 친환경 전처리가 막 증발 공정 뿐 아니라 다양한 해수담수화 공정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플랜트연구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하에 KIST 주요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워터 리서치’ 최신 호에 게재됐다. 

김혜원(왼쪽부터) 학생연구원, 정성필 박사, 이석헌 박사 (사진제공=KIST)
김혜원(왼쪽부터) 학생연구원, 정성필 박사, 이석헌 박사 (사진제공=K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