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장진혁 기자
  • 입력 2020.04.06 18:16

"57개 업종 중 한국 진출 업종 23개 불과…기업 수 세계 5위이나 시가총액은 세계 12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br>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

[뉴스웍스=장진혁 기자] 한국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11년, 2019년 포브스 글로벌 20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그 결과, 한국 기업은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수익성이 낮고 업종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포브스 2000에 포함된 국내기업 업종 23개 중 업종별 영업이익률이 해외기업 평균보다 높은 업종은 4개(광업 및 비철금속, 제약·바이오, 종합 및 전문 금융서비스, 화장품·생활용품)에 불과했다.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반도체를 비롯한 자동차, 전자제품, 조선, 철강, 화학 등 대표 제조업 6개 업종의 영업이익률 평균은 5.4%로, 같은 업종 해외기업 영업이익률(9.4%)의 반토막 수준이었다.

유틸리티(-0.9%), 백화점·할인마트(-0.8%), 항공서비스(-1.5%) 업종에서는 영업이익 마이너스를 기록해 양(+)의 영업이익을 낸 해외기업들과 큰 격차를 보였다.

(자료제공=한경연)
(자료제공=한경연)

신산업 진출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도 우리 경제의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포브스 2000의 총 57개 업종 중 국내 기업이 포함된 업종 23개는 전체의 40%에 불과했다.

이는 미국(55개), 일본(45개), 중국(43개)의 절반 수준으로 업종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1년과 비교해보면 국내 주요 기업의 활동 반경이 약 8년간 정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2019년 포브스 2000에 포함된 한국 기업 수는 총 62개사로 2011년(61개사) 대비 1개사가 늘어났다. 업종 수는 2011년(23개) 당시 그대로였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먹거리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2011년 대비 IT·항공우주·의료·헬스케어 등 8대 신성장 업종에서 포브스 2000 시가총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이들 중 우리 기업이 포함된 업종은 단 3개, 해당 기업 수는 5개사 뿐이었다.

국내 기업의 시가총액 또한 글로벌 기업에 크게 뒤처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포브스 2000에 포함된 우리나라 기업 수는(62개사)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지만, 시가총액 합계는 8579억 달러로 12위에 그쳐 우리나라 기업의 절대 규모는 작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은 동종 업계 세계 1위 기업에 비해 규모가 크게 작았다.

2019년 한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2724억 달러)의 시가총액은 세계 1위 기업인 애플(9613억 달러)의 28.3%, 자동차 업계 1위인 현대자동차(312억 달러)의 시가총액도 글로벌 최대 자동차 기업인 토요타(1766억 달러)의 17.7% 수준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주력 제조업의 수익성이 낮고 신산업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업을 배출하지 못해 세계무대에서 뒤처져 있다"며 "최근에는 코로나19라는 악재가 겹쳐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에 비상이 걸렸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이번 위기를 계기로 규제, 노동, 세제의 3대 개혁에 나서 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