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장진혁 기자
  • 입력 2020.04.09 10:50

"지난해 상장사 현금보유 10.3조원 감소하고 순차입금 65.7조원 늘어"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br>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

[뉴스웍스=장진혁 기자] 지난해 동안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면서 현금성자산이 감소하고 차입금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상장사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했으며, 이러한 상황이 3년 연속 지속된 한계기업 수는 2017년 이후 2배가 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코스피 상장기업 685개사의 개별·별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상장기업 685개사의 현금성자산은 2018년 142.0조원에서 2019년 131.7조원으로 10.3조원(7.3%) 감소했다.

절반 이상 기업들(51.8%, 355개사)의 현금성자산이 줄면서 전체 상장기업 현금성자산은 2년 연속 줄었다. 기업의 자산대비 현금 보유 비중인 현금자산비율도 2016년 9.3%에서 2019년 7.6%로 3년 연속 감소했다.

한경연은 상장기업 현금성자산의 감소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기업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2019년 102.6조원으로 2018년 137.7조원에 대비해 25.5% 감소했으며, 최근 5개년도 중 가장 적은 금액이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줄어든 313개 기업 중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133개로 전체 상장사의 19.4%를 차지했다.

기업들이 부족한 현금흐름으로 인해 투자금을 외부조달에 의존하면서 갚아야 할 순차입금은 증가했다. 총차입금에서 현금성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은 171.2조원에서 236.9조원으로 전년 대비 38.4% 증가했다.

한경연은 차입금은 증가하는데 반해 현금유입은 줄어들어 기업들의 재무부담이 가중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9년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은 기업은 143개로, 상장기업 5개중 1곳(20.9%)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지불하지 못하는 부실기업인 '한계기업'은 2017년 28개에서 2019년 57개로 두 배가 늘어났다.

한경연은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이유가 기업들의 매출이 정체된 가운데 영업이익은 크게 감소해 수익성이 줄어든 탓이라고 분석했다.

작년 상장기업 매출은 1190.3조원에서 1151.8조원으로 3.2%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111.3조원에서 55.5조원로 전년 대비 50.1%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인 매출액영업이익률도 2018년 9.4%에서 2019년 4.8%로 절반가량 줄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만성적 한계기업이 증가한 상황에서 코로나19 경제위기로 인해 한계상황까지 내몰리는 기업은 더 늘어날 전망"이라며 "존립의 기로에 서있는 기업들이 위기를 버텨낼 수 있도록 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