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20.05.20 18:22

기모란 교수, "독감백신 접종대상 넓히고 시기 앞당겨야 사망률 줄일수 있어"

(사진=JTBC 뉴스룸 캡처)
기모란 교수 (사진=JTBC 뉴스룸 캡처)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올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플루엔자 감염자가 크게 줄고, 유행시기도 일찍 종식됐다. 코로나19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면서 얻은 반사이익이다. 하지만 올 가을 코로나19의 2차위기가 올 때는 양상이 다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플루엔자가 겹쳐 유행할 가능성이 높아 국민건강에 치명적인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20일 국회에서 열린 ‘코로나19 2차위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주제의 토론회에서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는 “이번 코로나19 유행은 2월에 시작돼 인플루엔자 유행시기를 비켜갔지만 올 가을 두 감염질환이 동시에 유행할 때는 사망자 급증 등 상황이 심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심도 있는 정책적 대응을 주문했다.

기 교수의 대응책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일찍 시작하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사협회저널(JAMA)가 소개한 지난달 인플루엔자 등 동반 감염률은 21%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올 가을 이후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동시 유행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 교수는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1918년 스페인 독감의 경우, 2차 유행시 사망자가 1차때의 5배나 됐다”며 “올 가을 인풀루엔자 예방접종은 평소보다 일찍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하나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대상을 대폭 늘려야 한다.

기 교수는 ”지난해 2000만명이 예방접종을 받았지만 올해는 기존 접종자에 만성질환자와 고위험군 전파 위험자들까지 더해 3000만명을 대상으로 접종할 것“을 권했다. 이를 위해선 법률 개정이 시급하다. 현재 필수예방접종은 감염예방법에 따라 관할 보건소와 위탁받은 의료기관이 시행한다. 또 예방접종 비용은 비급여 대상으로 명시돼 65세 노인이나 어린이, 임신부 등에 국한해 정부가 지원한다.

기 교수는 고위험군인 만성질환자, 고위험군에 전파할 위험성이 있는 의료기관 종사자, 6개월 미만 영아를 돌보는 사람과 만성질환자나 임신부 및 노인과 동거하는 사람까지도 국가와 지자체가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위성은 충분히 있다. 우선 국내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자 수와 비율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이 첫 번째 이유다. 국내 전체 사망자 중 감염질환 사망자 비율은 2004년 4.0%에서 2018년 11.4%로, 이중 인플루엔자와 폐렴 비율은 2004년 36%에서 2018년 70%로 대폭 증가했다.

다음으론 비용절감 효과다. 예방접종을 건강보험공단에 위탁해 시행하고, 예방접종을 급여화하면 오히려 의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기 교수는 ”기존에는 2000만명 접종 시 정부와 지자체가 50%씩 부담해 약 4000억원의 예산을 썼지만 건보공단을 통해 인플루엔자 접종을 시행하면 국비 2000억과 지방비 600억, 총 2600억이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만성질환자의 예방접종시엔 진료비용을 추가 청구하지 않아 1회 외래비용이 줄고, 예방접종 효과로 만성질환자 진료비 15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논리다.

세미나에 참석한 유정희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팀장은 ”백신 수급의 한계가 있지만 인플루엔자 접종집단 확대에 대한 요구가 많아 국가지원에 대한 논의를 기재부와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