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윤기원 기자
  • 입력 2020.05.27 11:13

금속 유기 구조체에 작용기와 메조 기공 동시에 도입
손쉬운 특성 변경·기공크기조절 등 다양한 활용 기대

DGIST 신물질과학전공 박진희 교수팀이 금속 유기 구조체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하고 동시에 구조체의 성질을 개선하는 새로운 이중 개량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박진희 교수(오른쪽), 이병찬 석박통합과정생. (사진=DGIST 제공)
DGIST 신물질과학전공 박진희 교수팀이 금속 유기 구조체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하고 동시에 구조체의 성질을 개선하는 새로운 이중 개량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박진희 교수(오른쪽), 이병찬 석박통합과정생. (사진제공=DGIST)

[뉴스웍스=윤기원 기자]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하 DGIST)이 27일 금속 유기 구조체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하고 동시에 구조체의 성질을 개선하는 새로운 이중 개량 기술을 개발했다.

탄소 화합물에서 독특한 성질을 갖는 원자단인 작용기의 도입과 새로운 기공 구조 생성이 동시에 가능해 향후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벌집 같은 다공성(多孔性) 기공구조를 갖는 금속 유기 구조체(MOFs)는 단 1g이 최대 축구장 크기의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물질의 흡착·분해가 용이해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까지 8만여 개가 넘는 다양한 구조의 금속 유기 구조체가 발견됐지만 활용 관련 연구가 제한적이거나 기능화 시킨 구조체의 구조적 분석 연구가 미비했다.

신물질과학전공 박진희 교수팀은 금속 유기 구조체 내부에 의도한 작용기를 간편하게 도입시켜 구조체의 구조 변경과 동시에 성질 변화도 가능하게 하는 개량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구조체 내부에 있던 수소-탄소 결합을 탄소-탄소 결합으로 치환하는 과정에 원하는 작용기를 바로 도입시켜 기존의 기술보다도 생성된 구조의 안정성이 높고 그 분석이 매우 수월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이번 개량기술을 이용하면 활용성이 높은 기공구조 제작도 함께 가능하다. 박 교수팀은 작용기를 도입하고 이를 관찰한 결과 금속 유기 구조체 내부에 메조 기공이 생성된 것을 발견했다.

2nm~50nm(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의미하는 메조기공이 생성되면 기존의 구조보다 요오드 흡착 속도가 3~6배 빠르고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흡착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 이는 향후 공기청정 같은 환경 관련 분야, 에너지 저장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기존 개량 기술은 작용기 도입 과정이 복잡하고 분석도 까다로웠다”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했고 더 나아가 소재의 성질과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향후 추가 연구를 진행해 금속 유기 구조체의 실용화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지난 4월 27일 게재됐다. 연구에는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이병찬 석·박통합과정생이 제1저자로, 박진희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