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장진혁 기자
  • 입력 2020.05.27 15:36

글로벌 기업환경 '나쁘거나 매우 나쁘다' 응답, 작년 16%에서 올해 95%로 증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

[뉴스웍스=장진혁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개 회원국 경제단체의 절반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이 1년 이상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올해 경제산업자문위원회(BIAC) 이사회·정기총회를 통해 발표된 경제정책설문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전경련은 BIAC의 정회원이자 한국 대표 사무국으로 활동해오고 있다.

경제정책설문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GDP의 73%를 차지하는 OECD 20개 회원국 경제단체들이 글로벌 기업환경 전반에 대해 '나쁘거나 매우 나쁘다'라고 인식하는 응답이 작년 16%에서 올해 95%로 증가했다.

전 세계적 호황기를 누리던 2017년 8%에 그쳤던 것에 비해 약 12배 가량 증가한 수치다.

각국 수출의 급격한 감소를 전망한다는 응답은 55%, 투자부문에 있어 급격한 감소를 전망한다는 응답은 75%로 나타났다. 수출과 투자의 급격한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설문에 참여한 경제단체의 75%는 코로나19발 경제위기가 2008년 금융위기 시기보다 심각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 여파가 12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본다는 응답이 55%를 차지했다. 6~12개월 사이라는 응답이 35%, 6개월 내에 부정적 영향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10%에 불과했다.

경제회복에 필요한 기간에 대해 12개월 이상 소요될 것이라 예측한 응답이 65%로, 응답자의 대다수는 코로나19가 6월 전까지 성공적으로 억제돼 봉쇄가 해제되더라도 코로나19 이전의 경제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6~12개월 사이 정상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30%, 6개월 미만이라는 응답은 5%에 그쳤다. 글로벌 산업계는 코로나19 통제 이후에도 상당한 후유증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영향에는 격차가 존재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는 3개 분야에 대해 응답자들은 숙박, 여행 등 호스피털리티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만장일치로 전망했다. 이어 교통산업(65%), 무역 등 상거래(38%), 미디어 및 문화산업(23%) 건설 산업(20%) 순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경제침체 대응을 위해 각국에서 가장 많이 시행된 단기적 경제정책은 공공기관 연대보증(85%), 납세·사회보장기여금 납부 및 채무 변제 유예(85%), 코로나19 억제 관련 지출 확대(85%), 기업 긴급융자(75%), 질병수당 및 실업수당 확대(60%)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의 단기 대응책에 대해 '적절하다'는 응답이 50% 가량으로, '미약하거나 매우 미약하다'는 응답(45%)과 대조를 이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그동안 코로나19발 경제침체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가 여러 차례 나왔지만, 주요 경제권의 경제단체들이 모인 이번 회의를 통해 글로벌 경제계의 코로나 후유증에 대한 엄중한 우려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단기적 경기부양책과 함께 장기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개혁으로 경제체질을 재정비하는 국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