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전현건 기자
  • 입력 2020.05.29 17:47

국방부, 대한항공과 B747-8i 기종으로 계약…미사일 방어 장치 탑재

27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첫 방문지인 체코 공항에 도착해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첫 방문지인 체코 공항에 도착해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뉴스웍스=전현건 기자] 정부가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1호기'를 구매가 아닌 신형 항공기로 교체해 5년 동안 장기 임차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29일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1호기 3차 장기임차 사업에 단독 입찰한 대한항공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신형 공군 1호기 임차 기간은 오는 2021년부터 2026년까지 5년이다. 5년간의 임차비용은 3003억원이며, 대통령의 새 전용기는 내년 11월 첫 비행을 한다.

국방부는 현재 공군 1호기로 사용되고 있는 B747-400(2001년식) 기종을 대체할 신형 항공기에 대해 경쟁입찰 공고를 낸 결과, B747-8i 기종으로 입찰에 참여한 대한항공을 최종 선정하게 됐다.

B747-400 후속 기종인 B747-8i는 현존하는 대형 항공기 가운데 가장 빠른 항공기로 1만4815㎞를 14시간 가까이 운항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공군도 노후화된 VC-25(미국 에어포스 원)를 교체하기 위해 B747-8i 기종을 도입한 바 있다.

공군 1호기는 업무수행이 가능한 대통령 전용실과 침실, 회의실, 수행원석, 기자석 등 객실 내부 개조, 외부 도장 등이 이뤄진다.

군과 위성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국가지휘통신망, 위성통신망, 미사일 경보·방어장치 등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장비들도 구축하게 된다.

공군 1호기 도입과 함께 안정적인 임무수행 여건 보장을 위해 2019년 이후 제작된 예비 엔진 1대도 제공된다.

공군 1호기에 문제가 발생할 때 사용할 예비기와 완전히 분해 조립하는 창정비 등도 함께 제공될 계획이다.

신형 공군 1호기는 내·외부 개조와 국토부 감항 인증, 시험비행 및 수락검사 등을 거쳐 내년 11월1일부터 본격적인 임무수행을 하게 된다.

사용되는 공군 1호기 B747-400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지난 2010년 4월 1157억원 장기 임차 계약을 맺고 도입됐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에도 5년간 1421억 원에 재계약이 이뤄졌다.

국방부는 재계약 만료를 앞둔 지난 2018년부터 현 공군 1호기가 대부분 민간 항공사에서 퇴역하고 있는 2001년식 기종이어서 대통령의 임무 수행에 부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신형 항공기 교체를 추진했다.

군 당국은 공군 1호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5년 이내 제작된 최상위 등급 기체로 4개 이상 엔진을 탑재하고, 7000마일 이상 항속이 가능하며, 수행인원 210명 이상이 탑승 가능한 요구 조건 등을 내걸었다.

지난해 3차례에 걸친 입찰 공고에도 국내업체가 응찰하지 않아 유찰됐고, 이번에 대한항공의 B747-8i 기종을 단독으로 최종 결정하게 됐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계약이 만료됐어야 했던 기존 공군 1호기는 신형 항공기 도입 전인 내년 10월까지 임차 계약이 추가 연장됐다.

일각에서는 규모가 큰 B747-8i를 수용할 수 있는 공항이 전 세계에 많지 않아 대통령 등 주 요인사의 외교활동에는 일부 부적합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형 항공기의 경우 대륙 횡단을 하는 등 장거리 이동을 할 때 사용하고, 동남아시아나 국내 등 가까운 권역에는 중형 항공기를 사용한다"며, 임무수행에 지장이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를 보완할 공군 2호기에 대한 선행연구와 타당성 조사도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통령 전용기 2호기인 '공군2호기'는 전두환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85년 도입한 B737-3Z8 기종이다.

과거 공군 1호기로도 사용됐던 공군2호기는 기체가 작고 탑승인원이 40명 정도로 제한되며 항속거리도 짧아서 장거리 외교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정부는 2호기의 장기 임차 등에 대해서도 검토 중이다. 공군 2호기는 대북특사단이 지난 2018년 3월 방북 당시 사용했으며, 같은 해 9월 평양정상회담 당시에도 예비기로 사용됐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