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0.06.06 07:30

심재훈 변호사 "AI 인턴시스템, 빅데이터·알고리즘 울타리에 갇히거나 모니터링될 우려도"
오재섭 교수 "AI, 경제성공과 내부통제 강화시켜 권위주의 통치방식에 우위 제공"

지난 4일 국회에서는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및 조정훈 '시대전환 비례대표' 의원과 함께 인공지능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국회의원실 AI 인턴(시스템) 도입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사진=전현건 기자)
지난 4일 국회에서는 조승래(전면 오른쪽 첫 번째)더불어민주당 의원 및 조정훈(전면 오른쪽 두 번째) '시대전환 비례대표' 의원과 함께 인공지능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국회의원실 AI 인턴(시스템) 도입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사진=전현건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을 어디까지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인간의 편리성을 위해 도입된 인공지능이 오히려 인간에게 위해를 끼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없지 않다.

이런 가운데, 지난 4일 국회에서는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및 조정훈 '시대전환 비례대표' 의원과 함께 인공지능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국회의원실 AI 인턴(시스템) 도입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여기에서 다뤄진 '주요 인공지능 관련 쟁점'을 짚어봤다. 

제1발제자인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부교수는 '인간-AI 협업의 기술동향과 사례'에서 "인간과 AI 협업의 세가지 사례는 Crowdy(학습용 영상의 요약을 생성), Recipe Scape(한가지 요리에 대한 수백 가지 요리법 분석) 및 Solution Chat(온라인 토론의 진행을 지원)으로 나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Crowdy 시스템의 인간-AI 협업에서 '인간'은 영상을 시청하면서 질문에 답하고, 'AI'는 적절한 질문을 제시하고 답을 수집하고 가공한다"며 "인간과 AI 사이에서는 양질의 요약으로 학습 및 영상 탐색에서 효율이 향상되는 협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Recipe Scape 시스템의 인간-AI 협업'에 대해선 "'인간'은 레시피 탐색 및 비교분석을 하고, 'AI'는 레시피 간의 유사도 분석 및 지도생성 협업 역할을 한다"며 "인간과 AI 사이에서는 직관과 데이터를 결합해 보다 의미있는 분석이라는 협업이 일어난다"고 언급했다.

또한, 'Solution Chat 시스템의 인간-AI 협업'으로는 "'인간'은 토론 진행을 맡고, 'AI'는 대화 양상을 분석해 적절한 진행멘트를 제시한다"며 "인간과 AI 사이에서는 인간이 주도하면서 효율적인 토론이 진행되는 상호작용이 일어난다"고 적시했다. 

그러면서 "인간-AI 협업연구의 교훈은, 기술만으로는 부족하고 무의미하다는 것"이라며 "AI의 사용자 경험(사용동기,난이도,리스크,신뢰,피드백,투명성,공정성,책임소재)이 고려돼야 하고 AI를 사람과 팀에 적응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향후에는 인간과 AI의 협업이 제품/서비스/어플리케이션 설계의 핵심요소로 부상할 것이므로 사회전체적으로 우리는 AI와 협업할 수 있는 인재를 키워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심재훈 미국 변호사는 '국회의 AI 입법 보좌관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에서 인간 입법(human)보좌관과 인공지능(AI) 인턴을 비교하며 '인공지능(AI) 인턴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그는 인간 입법(human)보좌관은 '피곤함, 유동성, 기억력의 한계, 늦은 데이터 처리 속도, 초과근무수당 지급, 불금 즐기기' 등이 작동하는 반면, '인공지능(AI) 인턴'은 이와 정반대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대한민국 국회의 인공지능(AI) 인턴시스템 도입과 관련해 고민해볼 어젠더'를 거론하며 "기대되는 긍정효과는 인공지능(AI) 인턴시스템을 각 개별 국회의원실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국회사무처는 기술지원과 협조만 하는 방식이라면 각 국회의원실의 입법활동에서의 다양성이 확보되고, 각 국회의원실 간의 긍정적인 선순환경쟁을 통해서 인공지능(AI) 인턴시스템 활용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각 개별 국회의원실에서 독립적으로 운영 및 활용할 운영능력과 기술능력이 되는지 여부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에 더해 "인공지능(AI) 인턴 시스템에 대한 기술지원과 협조를 제공하는 주체가 국회사무처라면 국회사무처의 전산실(또는 정보화담당실) 등이 확대재편돼, 대한민국 국회 주도의 입법 관련 테크놀러지(Legislative Tech)의 발전이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특히 "인공지능 의사(Watson)의 진단과 판단을 인간의사가 한번 더 확인하는 크로스체킹(cross-checking)을 통해 인공지능 의사와 인간의사 간의 시너지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보는 것처럼, 인공지능(AI) 인턴의 입법활동 결과물들과 국회사무처의 각 분야별 수석전문위원들과 전문위원들의 검토와 분석을 서로간에 비교하고 크로스체킹(cross-checking)을 할수있게 되는 긍정효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회입법조사처와도 긍정적인 콜라보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심 변호사는 '우려되는 부작용'도 언급했다. 그는 "인공지능(AI) 인턴시스템을 국회사무처에서 앙관리방식으로 운영한다면 관리와 운영이 효율적이고 편리할수 있으나, 300명의 국회의원들이 똑같은 빅데이터에 기반한 똑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국회의원실 입법활동에서의 다양성을 확보할수 없다"면서 "자칫 300명 국회의원들의 입법활동이 국회사무처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의 울타리에 갇혀서 입법활동을 하게되는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게다가 "혹시라도, 300명 국회의원들이 어떤 법안들을 참고하고, 준비하고, 어떤 데이터들에 관심있는지 등이, 인공지능(AI) 인턴의 '디지털 활동'을 통해 국회사무처 또는 시스템 통제소(system control-tower)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인공지능(AI) 인턴시스템에 제공되는 빅데이터 및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관계그룹(interest group) 또는 로비활동가(lobbyist)들이 집중적으로 영향을 끼치려 하는 시도를 어떻게 차단할지에 대한 방안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인공지능(AI) 인턴시스템을 국회사무처가 아닌 외주방식으로(vendors) 운영한다면 이해관계그룹(interest group) 또는 로비활동가(lobbyist)들이 외부 vendor 회사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영향을 끼치려 하는 시도들이 우려된다"고 피력했다. 

제3 발제자인 오재섭 숙명여대 웹발전연구소 연구교수는 '디지털 정치: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민주주의의 미래'에서 "인공지능과 자동화는 경쟁력과 민주주의에 영향을 끼친다"며 "소득격차와 노동자 자본소득의 격차가 서구사회에서 이미 진행중"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시장 자동화에 따른 노동시장 파괴의 규모와 속도에 대한 불안도 있다"며 "동의 기반 민주주의 시스템의 안정성은 약화될 것이고 그 예로는 포퓰리즘, 반민주주의, 권위주의 득세를 꼽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인공지능과 자동화가 경쟁력과 민주주의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경제성공과 내부통제를 강화시켜 AI는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권위주의 통치방식에 우위를 제공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기술은 중립적이지만 기술 애플리케이션은 중립적이지 않다"며 "정책입안자들은 기술의 중립성과 BENEFIT(이익)균형, ABUSE(정보 악용) 통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AI와 자동화영역에서 데이터 경제와 기술발전의 장점이 민주사회의 번영과 개인권리와 자유의 보호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