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6.17 14:00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과학기술회관에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대 한림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과 공동으로 ‘코로나 이후 환경변화 대응 과학기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코로나19로 인한 거대한 변화와 중대한 도전의 흐름이 위기극복을 넘어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되도록, 과학기술 기반 선제적 미래 준비를 위한 주요 과제와 전략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행사는 과기정통부 유튜브 채널과 과총 네이버TV·카카오TV 등 온라인으로 실시간 생중계되며, 실시간 질의응답 시간도 가졌다.

포럼은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의 기조발제를 통해 ‘코로나가 가져온 거대한 사회변화’를 조망한 후, 이어 과기정통부의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안)’ 주제발표를 가졌다.

과기정통부는 “코로나로 바뀌는 미래가 아닌 우리가 스스로 바꾸는 미래 준비가 필요하다”며 정책방향 마련의 배경을 설명했다.

전문가 논의를 통해 전망한 코로나 이후의 4대 환경변화는 비대면·원격 문화의 확산으로 인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바이오 시장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자국중심주의 강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산업의 스마트화 가속, 위험대응 일상화 및 회복력 중시 사회로 요약된다.

이러한 환경변화 전망을 토대로 우리가 가진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 등 SWOT 분석을 통해 5가지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비대면·원격서비스, 바이오헬스 등 코로나 이후 시장·활용 확대가 전망되는 기술에 대한 선점 투자와 처음부터 민간이 주도하는 R&D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시장이 원하는 기술을 창출해 나간다.

디지털 뉴딜을 통한 인프라 투자 및 서비스 지원, GVC 재편에 대응한 스마트 제조혁신과 지역 혁신역량 제고, R&D기반 창업과 성과확산 등 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자생력을 높이는 정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셋째, 미래 일자리 변화에 신속·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재교육, 경력경로 다변화 등 우수인재의 유동성을 강화하고, 사회요구 인재상 변화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교육혁신 선도모델을 개발·확산해 나갈 것이다.

국민생명과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 위기상황의 주기적 반복에 대비하여 사전예측과 대응, 위기상황의 해법 제시를 위해 과학기술계가 신속히 역량을 결집하는 위기대응체계를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K-방역을 통해 높아진 우리의 국제사회 위상을 활용하여, 국제공조의 주도적 제안과 바이오 수출 확대 등 과학기술외교·협력체계 정비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과학기술 정책방향의 핵심과제인 R&D혁신과 산업구조 변화 대응, 국가적 위기대응과 정책결정과정에 과학기술 역할 강화를 주제로 전문가 심층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첫 번째 전문가 발제를 맡은 김현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정책센터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산업별 위기와 기회를 분석하고, 비대면 방식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산업기술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이 이어졌다.

한선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책본부장은 두 번째 전문가 발제 및 토론에서 위기관리 컨트롤타워에 과학기술계 역할이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출연(연) 고유기능을 바탕으로 상시적 사전예측과 위기발생 시 신속한 긴급대응연구가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환영사를 통해 “과학기술은 미래 모습을 그리고 준비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가졌다”면서, “다른 나라보다 빠르게 코로나19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만들기 위한 선제적 준비에 과학기술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라며 과학기술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