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0.06.17 17:59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지난 16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이에 이어지는 김여정 북한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남 막말 메시지 등에 대해 우리 정부도 17일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한반도의 긴장 수위가 높아지면서 이에 따른 청와대 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문책론이 대두되는 양상이다.

더군다나 17일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사의 표명까지 나오면서 청와대 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경질 압력이 더욱더 힘을 받게 됐다. 

앞서 지난 15일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기대만큼 북미관계와 남북관계의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해 나 또한 아쉬움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을 청와대 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우회적 불만의 표시로 해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6일부터 북한 관련 문제가 급속히 꼬이게 되면서 정부로서는 대북 강경 메시지를 발표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까지 몰리게 됐다. 

더구나 문 대통령 주변에 추진력과 분석력을 겸비한 북한 전문가가 없다는 점도 지적된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외교관 출신, 김유근 1차장은 군 출신, 김현종 2차장은 통상교섭 전문가다. 북측 사고를 꿰뚫고 의도를 짚기에는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따라 청와대 안보라인은 물론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 등 외교안보 부처 개각으로까지 이어질 분위기가 점차 형성되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청와대가 이번 사태 진전 추이를 보아가며 외교·안보라인 교체를 통해 분위기를 쇄신하고 새로운 접촉국면을 형성할 수 있다는 관측에 점점 더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문재인 대통령이 결심만 한다면 민주당이 176석을 갖고 있는만큼 국회청문회 부담도 덜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