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0.06.23 11:06

확성기 '맞대응 설치' 여부... "알려줄 수 없다"

휴전선 너머 북측 지역에 설치된 대남확성기의 모습이 선명하다. (사진=YTN뉴스 캡처)
휴전선 너머 북측 지역에 설치된 대남확성기의 모습이 선명하다. (사진=YTN뉴스 캡처)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북한군이 DMZ(비무장지대) 동·서·중부 전선 일대 20여 곳에 확성기 방송 시설을 재설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우리 군 당국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남북은 지난 2018년 4·27 판문점선언으로 비무장지대(DMZ) 인근 확성기 방송 시설을 모두 철거했지만, 북한은 21일 오후부터 전격 재설치 작업에 들어갔다.

우리 군 당국이 북한의 이런 행동에 맞대응해 확성기를 설치한다면, 북한은 물론이고 우리도 판문점선언을 위반하게 되는 셈이다.

최근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삐라(대남전단) 살포를 공언했고 확성기 설치에도 나서면서 확성기 방송은 대남전단 살포와 함께 개시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방부는 "북한의 군사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의 군사적 동향에 대해 작전 보안상 일일이 알려줄 수 없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도 "우리도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다.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확성기 맞대응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확성기 방송은 효율적인 심리전술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스피커 출력을 최대로 높이면 야간에 약 24㎞, 주간에는 10여㎞ 떨어진 곳에서도 방송 내용이 들린다고 한다. 출력을 최대로 높이면 군사분계선(MDL) 인근 북한군 부대에서 밤낮으로 들을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 군은, 기존 고정식 확성기보다 10㎞ 이상 더 먼 거리까지 음향을 보낼 수 있는 신형 이동식 확성기 차량도 보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