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7.06 12:00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벤처기업에서 반도체소재 개발 연구를 하고 있던 김혁신씨는 개발한 소재의 대량 생산 시 발생 가능한 문제를 파악하고 싶었다.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기존 장비로는 대량생산단계에서의 문제점에 대해 알 수 없었으며 기존의 장비위주의 검색서비스로는 시작품 개발단계인 소재의 성능을 측정 및 기술지원이 가능한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 국가연구시설 검색서비스를 통해 시작품 개발단계를 지원하는 반도체분야의 연구지원시설인 ‘특화반도체 일괄공정 연구시설’을 알게 되었으며 관련 장비를 바로 예약 할 수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코로나 감염병 등 사회 현안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국가연구시설 검색·예약서비스’를 개통했다.

'국가 연구시설 검색·예약서비스’는 전국에 산재된 과학기술 연구개발 지원목적의 280여개 국가연구시설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지도 기반서비스로 ‘ZEUS 국가연구시설장비 종합정보서비스’를 통해 오는 7일부터 제공된다.

과기혁신본부는 국가 재정을 투입하여 구축된 전국의 국가연구시설에 대한 현황조사 올해 초 수행하여 282개의 연구시설의 기초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새롭게 ‘국가연구시설’로 등록하고 관리번호를 일제히 부여했다. 

일본 수출규제조치와 코로나19를 계기로 소재·부품·장비와 감염병 연구 분야에 우리나라의 어떤 연구시설들이 어떤 장비를 가지고 어떠한 공정과 기술개발단계의 연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 정보를 수요자들에게 제공하여 장비활용까지 연계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정부는 매년 연구개발(R&D) 예산의 4% 이상을 연구시설·장비의 구축에 투자해 왔으며, 최근 국가현안의 민첩한 대응을 위한 전문적‧안정적 연구시설‧장비의 운영이 중요시됨에 따라, 기존의 연구장비 단위 관리·활용 중심 R&D 정책을 연구시설 중심의 투자·활용 정책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다.

구축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장기간 운영되는 연구시설은 연구현장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통한 국가 차원의 총괄적 연구시설 투자 및 효율적 운영‧관리를 위한 기반이 필요하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현재 운영 중인 전국의 280여개 연구시설에 대해 예산투입현황을 파악하고, 신규 연구시설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시설 투자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석래 성과평가정책국장은 “연구시설은 과학기술 연구자가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기이자 과학기술계의 사회간접자본(SOC)”이라며 “연구시설 중심 예약정보서비스는 개방형 연구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시설 투자방향 수립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이 효율적으로 투입되고,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