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성덕 기자
  • 입력 2020.07.22 14:18

문제일 DGIST 교수 연구팀

[뉴스웍스=이성덕 기자] 문제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간단한 콧물시료 검사로 치매환자를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

치매환자의 70%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고 있으며 이 중 약 60%는 치매 정도가 경미한 최경도 및 경도 환자들이다. 치매의 근원적 치료법이 없는 상황에서 경미한 치매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면 증세 악화를 막거나 지연가능하다.

치매 치료제들도 적절한 시기에 투여해야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고비용의 뇌영상 촬영이나 환자의 고통을 수반하는 뇌척수액 시료채취가 필요한 침습적인 검사법 등 때문에 초기 진단이 쉽지 않은 실정이었다.

문제일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기능의 이상에 주목하고 환자의 콧물 시료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핵심 바이오마커인 수용성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 검출에 성공했다.

단백질 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블롯 분석을 이용해 경도 및 중등도 정도의 인지저하를 가진 환자 그룹과 동 연령대 정상 대조군 그룹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콧물에 아밀로이드-베타의 응집체 발현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지난 3년간 종단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며 콧물 속에 더 높은 응집체 발현을 보인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3년 이내에 인지능력이 더욱 악화됨을 확인했다. 따라서 콧물에서 감지되는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의 양에 따라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행의 심각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점도 추가로 규명했다.

문 교수는 “많은 분들이 치매 초기관리에 필요한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성과를 활용해 조기선별키트를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조기 검사를 받게 돼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국가적으로도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되고 이영배, 장근아 가천대교수, 황교선 경희대 교수, 김영수 연세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진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지난 8일 온라인 게재됐다.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왼쪽)과 제1저자인 손고운 석박사통합과정생. (사진제공=DGIST)
문제일(왼쪽) 교수과 제1저자인 손고운 석박사통합과정생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DG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