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8.06 11:57

정 총리 주재 과기 관계장관 회의…이동통신 R&D 전략,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 전략 등 의결

정세균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정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선점에 나선다. 스마트 해양교통정책도 추진한다. 

정부는 6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의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갖고 코로나19 이후 과학기술분야 정책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코로나 이후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기술 정책방향,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이 토론 안건으로 상정돼 원안을 의결했다.

보고 안건으로는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 코로나19 재확산 대비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기반 활용·지원 세부 실행계획이 접수됐다.

정부는 코로나 이후 유망기술에 대한 R&D 선점 투자를 통해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기술보다는 문제해결 관점에서 R&D기획 단계에서부터 선제적 규제혁신을 함께 추진키로 했다. 민간 중심의 R&D모델을 확산해 나간다는 정책 방향성을 확인했다.

세부적으로는 디지털 치료제, 스마트 물류센터 등 코로나 이후 영향이 큰 8개 영역 30개 기술 발굴·제시하기로 했다.

올해 말까지 민간전문가 초대용량 DNA메모리, 수중·공중 기동 가능 무인이동체 등 미래를 바꿀 5개 프로젝트 기획 추진키로 했다.

미래 일자리·직종 변화의 대응을 위해 첨단기술 리커런트 교육, 디지털 재교육, 경력전환 플랫폼 등 직무전환 안전망을 구축, 연구인력의 지속적 성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예기치 않은 위험에 대한 과학기술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 위기상황별 전담연구기관 지정, 기술·데이터 기반의 사전감시, 위기발생 시 긴급대응연구 신속히 추진하는 출연 중심의 위기대응체계 등을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2021년부터 향후 5년 간 6G 핵심기술개발, 국제표준 선도, 연구·산업기반 조성에 총 2000억 원을 투자해 세계 최초 5세대(5G) 상용화에 이은 6G 1등 국가로의 도약 을 추진 목표로 제시했다.

지난 4월 '6G 핵심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마쳤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토대 위에서 2025년까지 6G 핵심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2026년부터서는 개발기술의 상용화 이전 '프리-6G' 기반으로 민간·공공분야 시범사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활용하면 연안에서 100㎞ 떨어진 먼 바다에서도 LET급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해상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맞춤형 해양 안전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세계 최초로 스마트 해양교통체계를 도입해 해양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선원·선박 등 해양교통관리 체계를 비대면·디지털 체계로 전환해 해양디지털 시장에 적극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올해는 서비스·인프라에 대한 시범운영을 전국 규모로 실시하고 내년부터는 해양사고 저감 등을 위한 해양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서비스 대상은 충돌·좌초 자동예측 경보, 화재 등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해상 내비게이션 서비스, 실시간 전자해도, 선박 입출항 정보, 해양안전·기상정보 등이다.

올해까지 약 3945척에 단말기 보급을 마치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4년 간 총 1만5500척에 보급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단말기 1대당 180만원의 민간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