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장진혁 기자
  • 입력 2020.08.11 13:10

"5년 뒤에도 28.3% 예상…한국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경쟁력, 미·중·독·일보다 뒤져"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br>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진제공=전경련)

[뉴스웍스=장진혁 기자] 최종학교 졸업(중퇴) 후 미취업한 청년이 올해 5월 기준 166만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미래 성장동력인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는 오히려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분야별 협회의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주요국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한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현재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 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 등으로 인력부족률이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후에도 인력부족은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 2025년 4차 산업혁명 인력부족률은 28.3%로 현재와 유사한 수준일 것이며 드론(75%, 20%p↑), 로봇(55%, 20%p↑) 등 분야에서 인력부족률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계자들이 지적한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은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정부 지원 부족(11.1%),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7.4%), 경쟁국 수준 임금 지급 어려움(7.4%) 등이었다. 

한국과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총 5개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을 100이라 가정 시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으로 나타나 한국이 가장 뒤처졌다.

2025년에도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 순으로 여전히 한국이 최하위일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 유일하게 중국에 대해서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분야에서 앞서 있는데, 이마저도 5년 후에는 따라잡혀 9개 기술 전 분야에서 비교국가들 중 꼴찌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부재에 따른 국내 산업 생태계의 구조적 침하 현상을 감안할 때 4차 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