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08.13 11:40

한류와 K-방역 연계한 K-서비스 브랜드 마케팅 강화… 6대 유망 K-서비스 집중 육성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자료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는 2025년 서비스 10대 수출 강국 도약을 위해 6대 유망 K-서비스를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특히 해외 지재권 보호, 서비스 무역통계 혁신, 범부처 총력지원체계 구축 등 제조업에 못지않은 수출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열린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K-서비스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2025년 서비스산업 10대 수출 강국(2019년 16위)을 목표로 코로나19에 대응한 신수출성장동력 창출과 무역구조 혁신 가속화를 위해 기업, 시장, 인프라 3대 지원체계 혁신과 6대 유망 K-서비스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중심으로 마련됐다.

먼저 제조·서비스연계, K-브랜드 활용, 전략적 ODA(공적개발원조) 강화 등 코로나19 대응 전략적 수출지원으로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제조·서비스 연계 강화로 서비스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GVC) 진입을 촉진한다. 패션·뷰티 분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유망 기업을 육성하고 우수 디자인과 기술이 융합한 글로벌 생활 소비재를 발굴·지원한다.

한류와 K-방역을 연계한 K-서비스 브랜드 마케팅을 강화한다. R&D를 통한 K-방역 패키지 모델 고도화 및 수출지원, 의료서비스 국제행사에 K-방역 대규모 컨퍼런스 실시 등을 통해 방역-의료서비스간 마케팅 시너지를 창출한다. 서비스 분야별로 K-브랜드를 마련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홍보하기 위한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한다. K-서비스의 지재권 해외 등록을 지원하는 등 지식재산 관련 분야도 종합 지원한다.

또 하드웨어-서비스 연계 ODA를 통해 패키지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K-서비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성장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비대면 서비스와 핵심기술에 대한 글로벌 표준 선점에도 나선다.

정부는 디지털 수출 플랫폼 전면 구축, 자금지원 확대, 트랙 레코드 확보 등 서비스 기업들이 해외진출 과정에서 당면하는 현장애로를 밀착 해소할 계획이다.

먼저 수출 지원 사업에서 서비스 기업 우대와 특화 지원을 확대한다. 서비스 업종 대상 매출액 기준과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 선정 기준을 완화하고 바우처 사업에 기업이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 제안형 서비스를 신설한다. 서비스 기업 맞춤형 R&D 제도를 마련하고 연구비의 인건비 사용 범위를 제조업보다 확대한다. 기업과 기업간(B2B), 기업과 소비자간(B2C) 온라인 수출 지원 플랫폼도 구축한다.

또 서비스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비대면 서비스 무역보험 한도를 확대하고 서비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보험료 할인 등 우대 지원제도 일몰은 연장한다.

특히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2023년까지 4조6000억원), 콘텐츠 제작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1조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 조성(~2024년), 1000억원 규모의 ‘K-BIO 신성장 펀드 제6호’를 통한 의료 서비스 해외진출 투자 등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실적(트랙 레코드)이 없어 수출을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전방위 지원하고 해외 진출 시 현지화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

정부는 인프라 보강에도 나선다. 우선 자유무역협정(FTA)과 디지털경제를 매개로 해외진출에 유리한 기반을 확충한다. FTA 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서비스 협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FTA 이러닝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한다. 디지털 협정과 협력 사업을 포괄하는 디지털 파트너십 협정 체결도 추진한다.

안정적인 글로벌 물류망을 구축하고 서비스 분야의 전문 무역상사도 육성한다. 펀드, 공공기관 자금 매칭 등을 통해 대규모 투자에 대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출 시 서비스 기업 간 협력 확대를 위해 제조-서비스 기업 얼라이언스 구축을 유도한다.

이외에도 서비스 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범부처, 민관 총력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서비스산업 해외진출지원단을 구성해 부처간 협업과 조정 역할을 수행하고 국가별 코트라 무역관과 분야별 지원기관의 ‘해외지사 간 협의체’를 구성해 기업 애로 해소를 심층 지원한다.

한편, 정부는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의 6대 유망 K-서비스에 대해서도 분야별로 특성에 맞는 전략을 마련해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유발된 제조·서비스 융합,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등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며 “이제는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여부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트렌드 변화와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전략 보강을 위해 이번 대책을 마련 한 것”이라며 “코로나19 대응으로 높아진 우리의 국격을 배경으로 서비스산업이 신수출성장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