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09.17 14:57

GCF와 공동으로 '그린뉴딜 국제 컨퍼런스' 개최…녹색전환·녹색포용·녹색협력 공유

홍남기 부총리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코로나19 사태는 기후변화 위기의 파급력과 대응의 시급성을 재평가하는 계기가 됐다”며 “이에 EU의 그린딜, G20 국가들의 탄소중립선언 등 주요 국가들의 ‘녹색회복 정책’의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기재부와 녹색기후기금(GCF)과 공동으로 개최한 ‘그린뉴딜 국제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기후변화는 더 이상 검은 코끼리, 즉 누구나 커다란 위험임을 알지만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을 수 없다”면서 이 같이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한국은 지난 10년간 녹색성장 정책을 통해 경제성장과 더불어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한 성공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며 “2009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제정했고 5년마다 녹색성장 중기 전략을 수립 중에 있으며 아시아 최초로 국가 단위의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에도 한국은 그린 선도국가로의 발걸음을 이어갈 것”이라며 “오늘 이 자리를 빌어 한국정부가 중점을 두어 추진하고 있는 세 가지 녹색 행동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먼저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녹색 전환’을 소개했다. 홍 부총리는 “한국 정부는 지난 7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 발전전략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며 “3가지 핵심 축의 하나가 바로 그린 뉴딜”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경제기반을 저탄소·친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으로 2025년까지 73조4000억원(2019년 기준 한국 GDP의 3.8%)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공공시설의 그린 리모델링 등 도시·공간·생활 인프라를 녹색으로 전환하고 신재생 에너지 확산을 위한 친환경 인프라를 구축하며 자동차 분야의 그린 모빌리티 육성, 녹색금융 조성 등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조성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빠르게 진행되는 녹색 전환 속에서 취약계층, 나아가 저소득‧개도국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녹색 포용’에 대해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새로운 경제,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자칫 기존의 ‘회색산업’ 종사자 계층은 일자리를 잃을 수 있고 자본력이 부족한 영세기업은 이러한 흐름에 뒤쳐질 수 있다”며 “국제사회에서는 선진국과 개도국간 녹색격차가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다양한 녹색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에 대한 직업훈련 등 고용안전망을 강화하고 중소기업들에 대한 친환경 에너지 전환‧제조공정 등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국제적으로도 한국의 성공적인 경험을 개도국과 공유하고 EDCF, KSP 등 양자지원, ADB, EBRD 등 국제기구와의 다자지원 등을 통해 개도국의 기후대응 및 지속가능한 성장에 지속 기여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는 글로벌 기후대응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 국제사회가 다함께 협업하는 ‘녹색 협력’을 주문했다. 홍 부총리는 “올해 9월 7일 처음으로 기념한 ‘푸른 하늘의 날’은 한국이 기념일 제정을 처음으로 제안해 지난해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UN의 공식기념일”이라며 “향후에도 한국은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UN 파리협정을 적극 이행해 나가면서 올해 말까지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마련해 UN에 제출 예정”이라며 “최대의 다자기후기금인 GCF의 유치국으로서 적극적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GCF는 한국에 설립된 지 약 6년여의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약 62억달러 규모의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2023년까지 98억달러 규모의 재원보충을 통해 기후관련 사업을 지속·확산해 나갈 것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