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0.09.21 14:28

한국감정원 매매시세현황 자료…"9억 초과 아파트 2.5배 가량 급증"

부동산 시장 호황에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나자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마련을 앞당길 가능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제공=뉴스웍스DB>
서울의 아파트.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남빛하늘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전체 지역에서 매매가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진 반면, 9억원을 초과 아파트는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감정원의 ‘2017년 5월~2020년 6월간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 내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문 대통령 취임월인 2017년 5월에는 67.3%였으나, 3년이 지난 2020년 6월 현재 29.4%로 급감했다. 

반면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의 경우 15.7%에서 39.8%로, 2.5배 가량 늘어났다.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 또한 3.9%에서 15.2%로 확대됐다. 문 정부 3년여 간 실수요자가 접근 가능했던 아파트는 대폭 줄어들고, 기존 주택마저 일반 서민은 거의 바라볼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오른 것이다.

자치구 중 6억원 이하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다. 2017년 5월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74.9%에 달했지만, 2020년 6월 현재 8.9%로 급락했다. 같은 기간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폭증했다. 3년전 강동구 내 10집 중 7집이 6억원 이하였지만, 지금은 절반이 9억원대를 형성한 것이다.

‘6억 소멸’ 현상은 서울에서 그나마 실수요자의 접근이 용이했던 강북지역에서 심화됐다. 성북구의 경우 97.0%에서 33.6%로 대폭 줄었고(9억원 초과 0→11.3%),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축소됐다(9억원 초과 0→20.9%). 서대문구도 88.6%에서 26.5%로 쪼그라들었다(9억원 초과 0.3→26.0%).

’마용성’ 상황도 비슷하다. 마포구의 경우 6억원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으나, 2020년 6월에는 6.1%에 그쳤다. 반면 9억원 초과는 7.1%에서 61.3%로 늘었다. 성동구는 60.6%에서 2.4%(9억원 초과 5.0→65.6%)로 줄었다. 광진구도 53.9%에서 3.5%(9억원 초과 12.0→68.3%), 동작구는 59.7%에서 4.5%(9억원 초과 2.0→52.1%) 떨어졌다.

한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드물고, 고가 주택이 많았던 강남지역은 15억원 초고가 아파트가 크게 늘었다. 강남구의 15억원 초과 아파트는 26.8%였으나, 2020년 현재 73.5%에 달하고, 서초구도 22.4%에서 67.2%로 확대됐다. 송파구 또한 5.3%에서 43.1%로 늘어났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문 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놓았다. 오랜 기간 살아온 실거주민에게는 ‘세금폭탄’까지 선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라리 ‘무대책’이 집값 억제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