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9.22 15:27

민승기 포항공대 교수 연구팀

민승기(왼쪽) 교수, 유영희 교수 (사진제공=포항공대)
민승기(왼쪽) 교수, 유영희 교수 (사진제공=포항공대)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민승기 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교수 유영희 연구 교수팀이 구글과 네이버에서 검색한 검색량 데이터를 이용해 대중이 어떻게 대기질의 심각도를 인지하고 있는지 실제 관측된 대기오염 농도와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 '환경연구회보 최신호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왜 2013년 겨울철에서 2014년 봄철 사이에 미세먼지 검색량 데이터가 갑자기 증가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검색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세먼지 농도 가시거리 망각의 쇠퇴 이론을 적용해 대중의 대기질 인지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다. 

대기질 인지도는 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가시거리 과거 경험에 기반한 기억의 쇠퇴 지수 며칠간 기억한 대기질 인지도를 누적한 값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이 체감하는 대기질은 미세먼지 농도와 가시거리뿐만 아니라 며칠 동안 경험한 대기질에 영향을 받는다.

나쁜 대기질이 며칠 동안 지속되는 상황이면 대중은 대기질이 매우 나쁘다고 인지할 수 있다. 

2014년 2월 하순에 7일 동안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를 기점으로 대중의 대기질에 대한 인식이 크게 높아졌다.

대기질에 대한 인식이 낮았던 과거에 대해 경험 모형을 적용한 결과, 대중이 인지하는 대기질은 2013년~2014년에 가장 나빴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2014년에 관측된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실제로 그리 높지 않았다.

대기질에 대한 인식이 낮았을 때 대중은 감각적 정보인 가시거리에 더 의존해 대기질을 가늠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대기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져 대중은 가시거리보다 관측된 미세먼지 지수에 더 기반해 대기질을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대중이 느끼는 미세먼지 심각도가 실제 관측된 농도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미세먼지가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체감하는 대기질 역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대기질을 나쁘게 느끼면 우울감 상승 천식 증상 악화 등 심리적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유영희 교수는 "연구결과는 대중의 미세먼지 인지도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며 "여러 날에 걸쳐 대기질이 나쁠 것으로 예상될 때 보다 적극적으로 오염물질 배출을 규제하는 정책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