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09.24 12:15
충남 <b>예산</b> ESS 화재 사고 사업장 발화 지점 배터리 모듈.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충남 예산 ESS 화재 사고 사업장 발화 지점 배터리 모듈.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우리나라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 조사를 통해 축적한 경험과 실증시험 기술을 바탕으로 ESS 안전성 분야의 국제표준 추진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안한 ‘ESS시스템 안전 시험방법 및 절차’가 ESS시스템 기술위원회(IEC/TC 120)에서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됐다고 24일 밝혔다. 

신규작업표준안(NP) 채택은 국제표준 제정의 첫 단계로 기술위원회 정회원국 투표에서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고 5개 이상의 국가에서 국제표준 제정 작업에 참여할 전문가를 추천받아야 한다.

이번 투표에서 우리나라는 기술위원회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이끌어 냈으며 미국, 스페인, 아일랜드, 중국 등으로부터 전문가 추천을 받아 국제표준 제정의 첫 발을 내딛었다.

특히 제안 과정에서 기존 표준에 포함시켜 다루자는 일본의 주장과 ESS 안전검증의 중요성 및 시장의 당위성에 따른 신규 표준이 필요하다는 한국의 주장이 맞섰으나 투표결과 국제표준을 제정하기로 결정됐다.

이 표준안은 리튬이온배터리 기반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시험방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규정한 기술문서이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실시한 ESS 화재사고 조사와 실증 시험을 통해 확보한 안전성 기술을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전기적·기계적 위험성, 누설가스, 통신제어와 전자파 등 ESS 안전요소에 대한 상세 시험방법을 담고 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그간 발생했던 ESS 화재 사고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처럼 남들이 가보지 않은 길을 앞서가는 과정에서 겪은 경험이 오늘날 국제표준 추진의 밑바탕이 됐다”며 “과거 선진국이 시행착오를 발판으로 여러 국제표준을 개발했던 것처럼 우리도 국제표준화를 통해 보다 안전한 ESS시스템을 만드는데 기여하고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ESS 산업은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아지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산업으로 우리 기업들이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ESS 시스템 안전성 분야에서도 국제표준을 리드함으로써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