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10.17 07:25

연 1.25%로 시작한 기준금리, 코로나 여파 0.50%까지 하락…"내후년 상반기에나 인상 논의될 수도"

한은 기준금리 추이 (자료출처=한국은행)
한은 기준금리 추이 (자료출처=한국은행)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또 다시 동결된 가운데 연내 동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코로나 회복을 위해 내년까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4일 연 0.50%의 기준금리에 대해 만장일치 동결을 결정했다. 올해 기준금리 결정 회의는 이제 11월 26일 한 차례 남았다.

2020년 기준금리는 연 1.25%로 시작했다. 1월과 2월에는 동결됐으나 3월부터 상황이 변했다. 2월말부터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강해지면서 금통위는 4월 9일 정례회의 전 3월 16일 임시회의를 열어 평소의 2배인 0.50%포인트를 인하했다.

단숨에 0.75%로 0%대에 진입한 기준금리는 4월 동결을 거쳐 5월 다시 0.25%포인트 떨어졌다. 역대 최저인 0.50%까지 낮아진 가운데 실효하한에 근접하면서 7월과 8월에 이어 이번 10월 세 차례 회의에서는 동결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11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시장에서 인하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11월에 기준금리를 어떻게 할지는 차후 입수되는 지표를 토대로 해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재 갖고 있는 자료를 토대로 보면 앞으로의 성장 흐름이 8월 전망 경로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언급한 만큼 추가 인하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 8월 우리 경제가 올해 –1.3% 성장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 총재의 기자간담회 내용은 기존의 입장과 큰 변화가 없었다”며 “향후 통화정책과 관련해 코로나 향방에 좌우될 것이라는 입장이었지만 추가 완화에 대한 시그널은 부재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이 당초 예상했던 수준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한 점, 최근 한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전반의 수출이 회복된 점, 물가 회복, 부동산가격 상승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상당기간 한은은 기준금리 동결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사례를 되돌아보면 위축됐던 실질GDP가 기존의 성장 경로에 가까워지는 시점에서 첫 금리인상이 단행됐는데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약 1년 10개월이 소요된 후였다”며 “이를 감안할 때 한은은 내년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국내경제가 코로나 이전의 성장경로에 근접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2022년 상반기 경 금리인상이 논의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주열 한은총재가 지난 15일 유튜브에서 통화정책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유튜브 캡처)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15일 유튜브에서 통화정책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유튜브 캡처)

한편, 한은은 국고채 단순매입과 관련해서는 시장 상황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하면서 내년도 국고채 발행 부담에도 수급 불균형을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

이 총재는 “향후 수급 불균형을 크게 우려하고 있지는 않으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두고 있다”며 “시장 수급 상황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시장 불안 가능성에 대해서는 적시에 적극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나 IBK투자금융 연구원은 “만장일치 동결에도 시장의 관심은 기준금리보다는 단순매입에 쏠려 있었다”며 “한은은 내년 예산안에 따른 수급 불균형을 우려하지 않는다면서 필요 시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했다”고 언급했다.

또 “현재로서는 추가 규모 확대나 정례화 계획이 없다면서 굳이 추가적인 정책 카드를 소진하지 않았고 국고채 외 채권편입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며 “금리 외 추가 정책(단순매입 등)은 필요하면 하겠지만 지금은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원은 “채권시장의 수급 불균형 이슈에 대해서 다소 낙관적인 시각을 유지했다”며 “내년에도 공급 측면에서의 수급 부담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부 재정준칙 도입과 중국 국채 WGBI 편입 이슈 등이 잠재적 수급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정책 대응에 대해서는 원론적인 답변을 되풀이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금통위가 실효하한 수준으로 낮아진 기준금리와 금융불균형 리스크를 고려해 상당기간 기준금리를 현 수준(0.50%)에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기 전까지 한은의 선제적인 정책 대응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