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0.11.24 09:43

"코로나 장기화 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악화로 금융회사 건전성 저하될 수도"

김용범 기재부 차관이 지난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제5차 한국판뉴딜점검 TF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김용범 기재부 차관이 지난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제5차 한국판뉴딜점검 TF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4일 “국내외 금융시장은 백신이 일상으로의 복귀를 앞당겨 줄 ‘게임 체인저’라는 믿음에 동조하면서 대체로 위험자산 선호가 뚜렷해지는 모습”이라며 “백신 도입 가시화에 따른 경제주체들의 낙관적 기대가 자칫 방역 소홀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산업은행 본점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코로나19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실물경제 영향, 향후 대응방안 등을 점검하면서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방역 피로감이 쌓이고 있고 한편으로는 백신과 치료제 기대감으로 코로나 불감증마저 우려된다”며 “방심과 망각을 경계하면서 다시 한 번 기본적인 방역 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상기해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김 차관은 “최근 세계적인 코로나 재확산으로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이 경제 봉쇄 조치를 재개함에 따라 미 연준, 유럽 중앙은행 등 주요 기관에서 4분기 이후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며 “지난주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5주 만에 증가하는 등 코로나의 실물경제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장기화 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 재무부의 코로나 대응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종료 요청 등 정책 변화 가능성은 물론 백신의 효과가 가시화될 때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영-EU간 브렉시트 협상 불확실성 등 시장 리스크 요인도 여전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글로벌 실물경제 회복이 정상궤도에 오르기 전까지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금융시장과 관련해서는 “미 대선 이후 추가 경기부양책 기대, 코로나 백신 임상 성공 소식, 국내기업의 실적 개선 기대 등에 힘입어 외국인들의 국내주식 순매수가 지속되면서 코스피는 어제 2602 포인트를 기록해 2년 10개월만에 사상 최고점을 경신했다”며 “기업 자금조달 여건도 비교적 양호해 단기자금시장은 연말 자금수요로 CP·단기사채 발행량이 증가한 가운데 CP금리(최종호가수익률) 역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시장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9월말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은 0.3%로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은 3.8%로 작년말 대비 0.1%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치는 등 아직 양호한 상황이나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차주들의 채무상환능력 악화로 금융회사 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금융회사 스스로가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여력을 보강하도록 유도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우리 실물경제는 아직까지 비교적 양호한 모습이지만 최근 국내외 코로나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수출은 지난 10월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으로 일평균 수출이 증가 전환된 이후 11월에도 20일까지 개선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최근 주요국의 봉쇄조치 강화 등으로 향후 수출 여건은 여전히 안심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오늘 발표된 소비자심리지수(CSI)도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큰 폭 상승하면서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거리두기 단계 격상 등의 영향은 반영되지 않은 결과로 향후 국내 코로나 확산세가 심화될 경우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지금 이 순간의 정책대응 하나 하나가 앞으로 우리 방역과 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비상한 각오 하에 시시각각 변하는 방역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며 “경기회복을 위한 경제 활력 제고방안을 비롯해 코로나 이후 경제·사회 구조변화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방안을 ‘2021년 경제정책방향’에 충실히 담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후변화 대응은 세계경제의 화두이자 새로운 질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되고 우리 산업·경제 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다”며 “2050 탄소중립 목표 하에 그린 뉴딜의 차질없는 추진을 통해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