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12.29 13:00

이상엽 KAIS 교수 연구팀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와 버나드 팔슨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UCSD) 생명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을 이용해 단백질 서열로부터 전사인자를 예측하는 시스템인 '딥티팩터'를 개발했다.

전사인자는 특정한 DNA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전사인자로 인한 유전자 전사를 분석함으로써 유기체가 유전적 또는 환경적 변화에 어떻게 반응해 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유기체의 전사인자를 찾는 것은 유기체의 전사 조절 시스템 분석을 위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새로운 전사인자를 찾기 위해서는 이미 알려진 전사인자와의 상동성을 분석하거나, 기계학습)과 같은 데이터 기반의 접근 방식을 이용했다. 

기존의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분자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계산하거나, 생물학적 서열의 상동성을 분석하는 등,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전문 지식에 의존해 모델의 입력값으로 사용할 특징을 찾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심층 학습은 문제 해결을 위한 잠재적인 특징을 내재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에 최근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심층 학습을 이용한 예측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내부의 복잡한 연산 때문에 추론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블랙박스'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심층 학습 기법을 이용해 주어진 단백질 서열이 전사인자인지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인 딥티팩터를 개발했다. 

딥티팩터는 단백질 서열로부터 전사인자를 예측하기 위해 세 개의 병렬적인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다. 

공동연구팀은 딥티팩터를 이용해 대장균의 전사인자 332개를 예측했으며, 그중 3개의 전사인자의 게놈 전체 결합 위치를 실험으로 확인함으로써 딥티팩터의 성능을 검증했다.

공동연구팀은 딥티팩터의 추론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특징 지도 기반의 심층 학습 모델 해석 방법론을 사용했다. 

딥티팩터의 학습 과정에서 전사인자의 DNA의 결합 영역에 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주어지지 않았지만, 내재적으로 이를 학습해 예측에 활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정 생물군의 단백질 서열만을 위해 개발됐던 이전 예측 방법론들과 달리, 딥티팩터는 모든 생물군의 단백질 서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 다양한 유기체의 전사 시스템 분석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연구에서 개발한 딥티팩터를 이용해서 새롭게 발견되는 단백질 서열과 아직 특성화되지 않은 수많은 단백질 서열을 높은 처리 능력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유기체의 전자 조절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기초 기술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바이오리파이너리를 위한 시스템대사공학 원천기술개발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2월 28일자에 게재됐다. 

이상엽(왼쪽) 교수, 김기배 박사과정생 (사진제공=KAIST)
이상엽(왼쪽) 교수, 김기배 박사과정생 (사진제공=KA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