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1.01.13 09:37

통계청 "도소매·숙박음식점업 32만명 감소…2020년 실업률 4.0%, 청년층은 9.0%"

대한민국의 다양한 일상 (사진=뉴스웍스 DB)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해 연간 취업자가 전년 대비 21만8000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영향에 따라 대면 업무 비중 높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임시·일용직 등의 고용 여건이 크게 악화됐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2690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21만8000명 감소했다. IMF 위기시절인 1998년(-127만6000명) 이래 22년 만에 가장 많이 줄었다.

우리나라 취업자 수 감소는 그간 4차례 있었다. 1998년을 비롯해 오일쇼크 1984년(-7만6000명), 카드 대란 2003년(-1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2009년(-8만7000명)에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2020년을 포함하면 연간 취업자 수 감소는 5차례 발생했다. 

지난해 월간 취업자 수는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연속 줄었다. 코로나가 본격 확산한 3월(-19만5000명)부터 감소세가 시작됐다. 감소폭은 4월 47만6000명까지 확대됐다가 5월(-39만2000명), 6월(-35만2000명), 7월(-27만7000명), 8월(-27만4000명)을 거쳐 20만명대로 떨어졌다.

이후 코로나 2차 확산이 시작되면서 감소폭은 확대됐다. 9월(-39만2000명), 10월(-42만1000명) 들어 40만명 내외를 기록하던 취업자 수 감소 규모는 거리두기 단계 완화 등으로 11월 다시 20만명대(-27만3000명)로 줄었으나 3차 확산 영향으로 12월에는 62만8000명이 줄었다. 62만8000명은 1999년 2월(-65만8000명)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2020년 고용률은 60.1%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OECD비교기준 15~64세 고용률은 65.9%로 20대, 40대, 50대, 30대 등에서 줄면서 0.9%포인트 떨어졌다.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2.2%로 1.3%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은 50대, 30대, 40대, 60세 이상 등 모든 연령계층에서 상승했다. 2020년 실업률은 4.0%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올랐다. 청년층 실업률도 9.0%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는 110만8000명으로 50대, 60세 이상, 40대 등에서 늘면서 1년 전보다 4만5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감을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명), 운수 및 창고업(5만1000명), 농림어업(5만명) 등은 늘었다. 반면 코로나 영향으로 도매 및 소매업(-16만명), 숙박및음식점업(-15만9000명), 교육서비스업(-8만6000명) 등에서는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0만5000명 증가했으나 임시근로자는 31만3000명, 일용근로자는 10만1000명 각각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명 늘어난 반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6만5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5000명 각각 줄었다.

홍남기 부총리가 지난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가 지난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한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어 고용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코로나19 피해계층 대상 9조3000억원 맞춤형 피해지원대책 중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등 주요 현금지원 사업을 설 명절 전까지 90% 집행하기로 했다.

또 104만개 직접일자리 등 공공일자리 사업을 연초부터 신속히 착수해 부족한 시장일자리를 적극 보완하고 고용시장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경우 이날 예정된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에서 논의할 ‘일자리 정책 점검·대응’을 포함해 추가 고용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특히 경제 중대본 회의에서는 공공‧민간 부문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유지‧생활안정 지원 강화,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진입‧복귀지원 등 2021년 고용회복 동력 확보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코로나 이후 경제․고용상황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코로나 격차’ 줄이는 ‘포용적 회복’이 이루어지도록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전국민 고용보험제도 추진,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등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조치를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