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1.01.14 14:55

주요 효능 정보 등급화해 제공, 소재 무상분양…정 총리 "해역별로 특성하된 클러스터 조성"

(자료제공=해양수산부)
(자료제공=해양수산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를 1조20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선도국과의 기술격차와 소재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마련했다.

해양수산부는 해양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주요 과제를 담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마련해 14일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 회의에 보고했다.

해양바이오는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분야로 현재 전세계 약 33만종의 해양생물 중 1% 정도만 바이오 소재로 이용되고 있어 향후 해양생물을 통한 바이오 신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우리나라는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 역사가 짧아 임상 등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고 소재를 대량생산하는 시스템도 미흡해 기업의 해양바이오 시장 진입 위험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기업은 투자를 꺼리고 전문인력 유입은 줄면서 현재 국내 해양바이오시장은 약 5000억원 규모에 불과하다. 그나마 390개 관련 기업도 대부분이 영세기업으로서 사업화 성과 창출도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국내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를 통해 국가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세계 해양바이오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10년간의 계획을 담은 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기업들이 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소재정보 부족 및 대량 확보 곤란, 제품출시를 위한 인·허가 어려움 등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단계별로 제품화를 지원하는 것과 전략적인 연구개발 (R&D) 투자를 위해 중점 육성기술 분야를 선정하고 우수 기술이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를 강화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우선 바이오뱅크를 통해 해양생물이 갖는 항암 등 주요 효능 정보를 등급화해 제공하고 무상으로 소재를 분양하는 등 기업들의 산업화 소재 발굴을 지원한다. 특히 업계 수요가 높은 핵심소재의 경우 대량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기술 검증을 위한 실증시험장과 해양 소재에 특화된 생산시설을 구축해 제품화를 지원한다.

또 R&D 성공 후 임상 통과의 어려움, 제품생산 기반 부족 등으로 사업화에 실패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산업화 단계별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먼저 해양소재의 특성을 고려해 인·허가 기준을 개선하는 등 규제를 정비하고 인·허가 절차와 자료 작성법 등을 종합적으로 안내하는 지침을 마련·배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상반기중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창업기업 등의 기술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 사업화를 촉진하며 우수 해양바이오 제품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국제 인증 획득을 위한 컨설팅 및 소요 비용 등도 지원한다. 해양 바이오 소재가 건강식품, 화장품 등으로 제품화되는 데 걸림돌이 됐던 해양생물 특유의 점성, 냄새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체내 흡수를 높이기 위한 제형화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

이외에도 해역별 특성에 맞춰 해양바이오 특성화거점을 조성하고 지역 중심의 인프라 연계와 성과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해권은 ‘국립 해양생물자원관’과 2023년에 준공할 예정인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사업화 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또 2025년까지 인천항 배후부지에 해양바이오 특화단지를 지정해 해양 바이오 기업에게 장기 임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남해권은 국내 최대 해조류 생산지인 점을 활용해 바이오 소재 생산시설 등을 구축, 소재 공급기지로 개발하고 동해권은 기존 연구 인프라와 연계해 기초 및 융복합 연구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R&D 혁신도 추진한다. 먼저 수요자의 R&D 참여와 전문가그룹간 연계를 강화해 우수한 연구 성과가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국바이오협회와 해양바이오학회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연구 등을 통해 전문가간 협력을 강화하고 R&D 기획단계부터 기업 등 수요자의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기업과 제약·바이오기업 간 컨소시엄을 통해 식품원료 분야의 연구 성과를 활용해 보건·의료 분야 기술을 개발하는 상생형 R&D 체계도 도입한다.

또 해양바이오 R&D를 통해 사회적 수요가 높은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기존 화학제품을 대체하는 신소재나 해조류를 활용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어구 등을 개발하고 유해 플랑크톤을 억제할 수 있는 해양미생물 소재를 연구하는 등 해양환경 개선 소재를 집중 개발한다.

이밖에도 양식생물의 유전체 정보 등을 데이터화해 우수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디지털육종기술 개발, 인공 참치 등 대체 수산물과 3D 푸드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수산식품 등 부가가치가 높은 식품가공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다. 고령화 시대에 맞춘 웰에이징·항노화 소재 개발,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헬스케어제품 개발 등 새로운 산업소재 발굴을 위한 투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정세균 국무총리는 “정부는 올해를 ‘해양바이오산업 도약’의 원년으로 정하고 R&D에서 제품화까지 특화된 지원체계 마련 등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며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형적 이점을 적극 활용해 각 해역별로 특성화된 클러스터를 조성해 집중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