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윤주진기자
  • 입력 2016.04.21 17:02
황교안 국무총리가 지난 3월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6 국제 컨벤션 개회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부가 글로벌 혁신 바이오 기업을 100개 이상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온실가스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산업자원 생산에 재활용하는 탄소자원 활용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정부는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하는 가운데 제33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자문회의)와 바이오 산업생태계·탄소 자원화 발전전략 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바이오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자문회의는 '바이오산업 생태계 확충 방안'을 보고, 바이오 분야 규제 선진화와 바이오 연구개발(R&D)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의 육성 방안 등을 보고했다. 또 가장 시급하게 해소해야 할 4대 규제 개선 과제로 ▲세포 치료 연구용 인체 자원 활용 제한 완화 ▲유전자 치료 연구범위 제한 철폐 ▲의료기기의 신의료기술 평가 대상 축소 ▲디지털 헬스산업 활성화 등을 꼽았다. 자문회의는 ‘바이오 규제 선진화 로드맵’을 수립해 해당 규제들을 신속하게 해소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바이오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바이오 R&D 스타트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자문회의는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바이오 특화 창업공간과 보육 지원 확대 ▲바이오 창업 맞춤형 R&D·인프라 지원 강화 ▲바이오 창업 초기기업 투자 지원 확대 ▲코스닥 제도 개선 및 글로벌 진출 촉진 등이 필요하다고 자문회의는 설명했다. 

자문회의는 이 같은 규제 해소와 지원육성을 통해 글로벌 기술혁신 바이오 기업을 100개 이상 육성, 오는 2020년에는 바이오 7대 강국으로 도약하고 나아가 2025년까지 글로벌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5%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바이오 산업생태계·탄소 자원화 발전전략 보고회에서 탄소자원 활성화 방안과 향후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설명했다. 

미래부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메탄 등 탄소자원을 활용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에 필요한 탄소자원 활용기술을 개발하는 ‘신(新)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탄소자원화 발전 전략’을 보고했다. 

제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와 수소(H2)를 메탄올이나 경유로 바꿔서 쓰는 부생가스 전환 상용화 기술과, 시멘트와 용지 생산에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이산화탄소 광물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산화탄소로부터 기초화학연료·액체연료 등을 생산하는 차세대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등 전주기 기술 개발에도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이를 통해 미래부는 2030년까지 연간 2500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16조원 규모의 탄소시장 경제 규모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등 모두 14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