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1.02.19 19:00

IBS 유전체교정 연구단 연구팀

미토콘드리아 내로 도입된 DdCBE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결합하여 목표 부위의 시토신(C)을 티민(T)으로 치환한다.유전자 교정이 된 배아를 대리모에게 이식하여 유전자가 교정된 생쥐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사진제공=IBS)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 연구단이 시토신 염기교정효소를 이용해 생쥐 미토콘드리아 DNA의 특정 염기를 바꾸는데 성공했다.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 내 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변이가 일어날 경우 시력·청력 뿐 아니라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중추신경계·근육·심장 등에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한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 유전되기 때문에 모체의 미토콘드리아 DNA에 결함이 있을 경우 다음 세대로 고스란히 전달된다.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5000명 중 한 명 꼴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유전질환이지만 아직까지 마땅한 치료법이 없다. 

현재 유전체 교정 기술로 널리 활용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는 미토콘드리아 DNA 교정이 불가했다. 

지난해 세균에서 유래한 DddA 탈아미노 효소가 DNA 이중 나선의 시토신 염기를 티민으로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 지면서 이를 활용한 새로운 염기교정효소인 DdCBE가 제작되었다. 

이로써 미토콘드리아 DNA 교정은 가능해졌지만 이는 세포 수준의 연구로서, 질환 치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DdCBE가 동물 개체 수준에서도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이 필요했다.

연구진은 다양한 조합의 DdCBE를 생쥐 세포주 수준에서 선별하여 가장 효율이 높은 DdCBE를 선정했다.

최적의 조건에서 DdCBE를 생쥐 배아에 미세주입하여 미토콘드리아 DNA에 작용시킴으로써 시토신 염기를 티민으로 치환하는 데 성공했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미토콘드리아 DNA 서열이 변환된 동물을 최초 제작한 것이다.

어미 생쥐의 교정된 미토콘드리아 DNA 서열이 다음 세대에게도 온전히 전달됨을 확인했다. 

DdCBE가 동물 개체 수준에서 정상 작동함을 최초로 확인한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이현지, 이성현 선임연구원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동물배아 수준에서 정밀하게 교정할 수 있게 됐다"며 "미토콘드리아 질환 기작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새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연구결과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인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 19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김진수(왼쪽) 단장, 이현지 선임연구원 (사진제공=IBS)
김진수(왼쪽) 단장, 이현지 선임연구원 (사진제공=IBS)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