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21.02.25 13:00

복지부, 'K-Cancer 통합 빅데이터' 구축 시동…암 진단부터 사후관리까지 모든 주기 연구 활성화 기대

K-canter 통합 빅데이터 구축 개념도
K-Cancer 통합 빅데이터 구축 개념도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국내 300만명에 이르는 암환자 관련 정보를 모으는 'K-Cancer 통합 빅데이터 구축사업'이 시작된다. 정부는 이를 이용해 암 연구기반을 조성하고, 개인맞춤형 치료를 위한 정밀의료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한국인 3대 사망원인 질환에 특화된 ‘K-의료 빅데이터’를 구축해 개인맞춤형 질병예측 및 진단·치료·사후관리 등 전(全)주기 의료지원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번 암 환자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전체 사망원인의 49.5%를 차지하는 한국인 주요 암 10종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으로, K-의료 빅데이터 구축사업의 첫걸음이다.

암 정보는 ①암 진료데이터(영상 포함)와 ②건강검진 데이터, ③유전체 데이터, ④사망통계 등을 망라한다. 따라서 이를 연계하면 암발병 전후 생애주기 연구가 가능하다.

정부는 이 데이터를 최대한 개방해 환자맞춤형 치료법과 신약, 의료기기 등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구체적인 계획은 4월중 보건의료데이터 중장기 혁신전략인 '문제해결형 K-의료 빅데이터 추진 로드맵'에 제시하고, 5월까지 통합 빅데이터 구축 설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이번 빅데이터 구축사업에는 의료기관은 물론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등 관련 기관이 모두 참여한다. 각 기관 별로 흩어진 약 300만 명의 암 환자 데이터를 연계‧결합해 국가 암 데이터 도서관으로 기능을 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사업이 종래 의료데이터 수집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암 발병 이후 데이터를 구축하던 기존방식과 달리, 암진단 이전의 진료·검진 데이터, 사망데이터까지 암관련 전(全)주기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야 암 예방·검진·진단·치료·예후·사망까지 장기추적 연구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데이터의 종류도 기존 문자 수준을 벗어나 영상, 이미지, 유전체 등 다양한 정보가 망라된다. 또 수집 대상 암 종류도 10종으로 확대된다. 그동안 환자 수가 적어 개별 병원단위로는 연구가 어려웠던 혈액암(백혈병), 췌담도암도 여기에 포함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를 통해 개인맞춤형 표적항암제, 암 예방‧관리 인공지능, 암 진단 정밀의료기기 개발, 암 치료효과 비교·검증, 항암제 부작용 최소화 등 암진단‧치료 수준의 획기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데이터 구축사업에는 참여기관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뿐 아니라 인센티브제가 적용돼 실효성을 높인다는 점도 주목된다. 그동안 정부의 빅데이터 구축사업에는 몇몇 수도권 대형중심병원만 참여해 데이터 가치에 한계가 있었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빅데이터 구축도 중요하지만 모인 데이터를 개방해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K-Master 등 올해 구축이 완료되는 암 연구용 데이터는 신속히 개방해 현장 활용이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