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상근기자
  • 입력 2016.04.24 12:48

정부, 한달새 달러당 50.2원 하락해도 속수무책... 원·달러 환율 당분간 약세 불가피

<사진=SBS화면캡쳐>

연초 고공행진 했던 원‧달러 환율이 최근 한달새 50원이 넘게 급락(원화강세)했으나 당분간 상승 반전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이 조만간 환율조작국을 지정할 예정에 있는데, 한국이 포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당분간 외환당국이 환율 급락 상황에도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24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22일 원·달러 환율은 1143.1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 달 전만 하더라도 원·달러 환율은 1200원대 안팎에서 거래됐다. 지난달 16일 종가기준 원·달러 환율이 1193.3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한 달여만에 50.2원이 떨어졌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최근 원‧달러 환율 급락이 ▲국제 유가 반등과 ▲달러화 약세에 기인했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지만 여기에 ▲외환 당국이 섣불리 시장에 개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유가 반등과 달러화 약세가 일반적인 사항이라면 외환당국이 움추려 든 것은 미국의 견제를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조만간 대(對)미국 경상수지 흑자국들을 대상으로 ‘환율보고서’를 발표하고 환율조작국을 지정할 예정이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미국 조달시장 참여 배제 등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되는 것은 물론 외환시장에서는 투기세력의 타깃이 될 수 있다.

외환당국이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원‧달러환율 급등(원화약세)는 1달러짜리 물건을 팔았을 데 원화 환산액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지난 1분기 삼성전자의 실적 발표시 영업이익 향상 요인으로 환율상승 효과가 대두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제동이 걸린다면 2분기 국내 수출기업들의 영업이익에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 원화 강세가 지속될 경우, 국내 증시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자금이 이탈할 개연성도 있다.

이에 따라 적정한 환율 유지는 불가피하지만 당분간 외환당국이 눈에 띄게 시장에 개입하기는 어려워진 변수가 발생한 것이다.

이에 당분간 원‧달러 하락세(원화강세)는 유질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종합된 의견이다.

서대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극단적으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이 되면 미국의 실질적인 제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고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는 등 부정적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미국의 환율보고서에 (한국에 대한) 별다른 언급이 없으면 환율은 다시 1150원 이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결국 환율 흐름은 미 금리인상 시점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