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남희 기자
  • 입력 2021.03.08 13:00

"바이든 정부 자동차 정책, 기회이자 위기…양자·다자간 협력으로 시장 진출 확대해야"

[뉴스웍스=김남희 기자] 국내 기업의 미국 친환경 자동차 시장 진출을 위해선 양자 및 다자간 협력체제를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의 미국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진출 및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및 기업의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2020년 기준 친환경차 판매량 세계 3위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 강화로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확대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그 가운데 바이든 정부의 미국 중심 공급망 재편 정책은 국내 자동차 업계에 기회이자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미국의 핵심 소재 및 부품의 공급망 재편 검토는 기회 요소로 꼽힌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반도체·전기차 배터리·희토류 등 핵심 품목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동맹국과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공급망 재검토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중국 부품의 의존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국내 기업이 미국 시장 내 비중을 높이는 반사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자동차 산업 투자 및 일자리 유치를 위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리쇼어링 기업의 세금 혜택 등은 국내 기업에 위기 요인이 될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 제조 원산지 기준을 강화하고, 자동차 산업 100만개 신규 일자리 창출 공약으로 미국으로 리쇼어링을 하는 제조 기업에 10%의 세금 혜택을 제시한 바 있다.

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이 미국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에 진출해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선 정부가 친환경 정책 및 이해관계 조율 등에 대해 장기적 안목으로 대응하는 한·미 산업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부·기업·연구소·대학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을 참여시켜 지속가능한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일본이 개도국과 맺은 양자협정인 JCM(Joint Crediting Mechanism)과 같은 양자협력체제를 구축해 정책·기술·연구 분야의 협력을 진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으로 미국 중심 역내 공급망 편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업의 경우에는 미국 시장 공략과 국내 자동차 산업 구조 고도화를 위해 글로벌 밸류체인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국내 완성차 기업은 미국 판매를 위해 생산지를 고려한 공급망 구축 및 생산 전략이 필요하며, 동반 진출한 중소부품기업의 해외 고객 다변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