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상근기자
  • 입력 2016.04.27 16:59

<유튜브 캡쳐>

북한은 5월6일 조선노동당 제7차 당대회를 계기로 김정은 시대 개막을 공식 선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제 5차 핵실험을 감행하며 핵보유국임을 자처하는 승부수를 띄울 가능성이 커졌다.

♦핵·경제 병진노선 재확인, '유일 영도'체제 공식화 무대 

이번 당 대회에는 김일성 전 주석 집권기인 1980년에 열린 6차 당대회 이후 36년만에 열린다. 김정일 체제에서는 한번도 열리지 않았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집권 5년차에 맞춰 치적을 과시하고 유일 지도자로서의 권위를 대내외적으로 과시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제 1위원장은 이를 위해 북한 체제 구조상 최고권력자인 노동당 제1서기 추대 공식절차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향후 당과 북한의 노선 및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기회로 삼아 향후 집권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 모멘텀으로 삼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김 제1위원장의 친위부대를 대거 전면에 내세우는 대대적인 세대교체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남 관계에서는 통일방안에 대해 원론적 차원의 언급을 다시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제 제재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평화협정 논의를 위한 북미 고위급회담이나 남북 정상회담 등 대화공세를 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제6차 대회에서는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자 지위 공식화, 사회주의 건설 10대 전망 목표 제시, 고려연방제 통일방안 제안 등을 주요 의제로 다뤘었다.

통일부 한 관계자는 "핵과 경제 병진노선을 재확인하고 자강력 제일주의에 기반한 새로운 중장기 경제 계획과 김정은 제1비서의 유일 영도 체제 구축을 위한 인적·제도적 체제를 정비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대북제재 국면에 대한 반발의 표시로 시장경제적 요소 도입이나 개혁 개방 등의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북한은 이전 당 대회와 달리 축소된 외교적 입지로 인해 초청국가를 크게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지지통신은 “6차 대회는 5일간, 1970년 5차 대회는 12일간 열렸다”며 “이번 대회에서는 김정은을 다시 제1서기로 추대하는 절차를 밟고 경제와 대남 관계 등에 대한 정책의지를 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7일 보도했다.

♦선전용 5차 핵실험 감행할까

국제사회에서는 북한이 36년만의 당 대회중에 5차 핵실험을 감행할 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제 1위원장이 치적으로 삼고 있는 핵보유국을 스스로 선포하고 체제 우월성을 대내외에 과시하는데에 국제적 이목을 끌 수 있는 당대회를 적극 활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아울러 주변국의 비핵화요구가 부당하고 초고강도 제재 또한 무의미하다는 메시지를 던지려 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미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는 이달 들어 인력과 차량의 움직임이 지난달에 비해 2∼3배가량 늘었다. 정보 당국은 북한의 핵실험 준비가 거의 마무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핵무기 운반·조립, 계측장비 설치, 인력·차량 소개작업 등 핵실험이 임박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징후 없이 기습적으로 핵실험을 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북한의 핵탄두 폭발시험은 지하 갱도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클 전망이다. 4차 핵실험이 ‘수소탄 시험’이란 북측의 주장과 달리 ‘증폭핵분열탄’시험으로 파악됐듯이 또한번 이같은 실험을 할 개연성은 충분한 상황으로 보인다.

증폭핵분열탄은 수소폭탄의 기폭제로 쓰이기 때문에 관련 시험은 수소폭탄 시험의 전 단계로 간주된다.

북한이 올들어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에 맞서 조급할 정도로 핵·미사일 능력을 과시해왔다는 점에서 당대회를 계기로 5차 핵실험 가능성은 어느때보다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