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1.04.20 09:03

"물가·금리상승 우려 크게 불거지면 시장 발작적 반응 배제 못해…예의주시"

이억원 기재부 차관이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산업 전략지원 TF 킥오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이억원 기재부 차관이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산업 전략지원 TF 킥오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0일 "개선된 지표에 만족하지 않고 지표 경기와 체감 경기의 괴리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경제회복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며 "금리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가계·기업의 부채부담을 면밀히 분석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 부담 완화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코로나19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실물경제 영향, 향후 대응방안 등을 점검했다.

이 차관은 "최근 국내외 경제의 회복흐름이 강해짐에 따라 주요 기관들이 성장전망을 상향 조정하는 등 경기반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글로벌 경제의 업턴 흐름을 적극 활용해 우리경제의 빠른 회복과 반등에 힘쓰면서 대내외 위험 요인들이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하는 공수겸장의 대응이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세계경제는 백신보급과 미국 등 주요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등에 힘입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상품교역은 이미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은 경제 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 미 국채금리 상승 등으로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확대됐으나 최근 들어서는 미 연준의 완화기조 재확인, 인플레 경계감 완화 등에 따라 안정을 되찾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무엇보다 금융시장이 상당기간 저물가·저금리에 적응된 상태인 만큼 물가 및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크게 불거질 경우 시장이 발작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의 경기회복이 더뎌지는 불균등 회복의 양상이 관찰되고 있어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유출 압력이 확대되고 금융시장에 부정적 여파를 가져올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며 "미중 갈등, 중동지역의 긴장고조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져올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정부는 개선된 지표에 만족하지 않고 지표 경기와 체감 경기의 괴리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경제회복에 더욱 속도 내 매진하겠다"며 "추경사업 등 재정을 속도감 있게 집행하면서 방역상황과 경기여건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내수회복 속도를 높이는데 전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넓게 보고 작게 살피는 대관소찰의 자세로 리스크 관리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국내 기관뿐만 아니라 뉴욕, 워싱턴 등 해외 주요공관과도 긴밀히 소통하면서 위험 감지의 범위를 넓히고 대응 역량을 보다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특히 "금리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가계·기업의 부채부담을 면밀히 분석하고 취약부문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서민금융 공급 확대, 신용등급 하락 기업에 대한 대출영향 최소화 등을 착실히 추진할 방침"이라며 "식용옥수수 등 일부 수입곡물에 대한 긴급 할당관세 0%를 연말까지 한시적용하고 비철금속 비축물량도 할인 방출하는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 부담 완화 노력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취약 신흥국의 위험 확대와 자본유출 압력 등이 우리 경제금융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등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리스크 관리 조치 등을 적기에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