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우성숙 기자
  • 입력 2021.06.16 06:00
한국판 뉴딜 구조 (자료제공=기획재정부)
한국판 뉴딜 구조 (자료제공=기획재정부)

[뉴스웍스=우성숙 기자] 정부가 디지털 뉴딜 프로젝트에 속도를 붙이는 모양새다. 2025년까지 총 58조원 이상을 투입해 디지털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구체적으로 점검하며,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15일 한국판 뉴딜 자문단 디지털뉴딜 분과 제4차 회의를 열어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방침을 밝히면서 "메모리반도체 등 선도분야는 초격차를 확대하고, 소프트웨어와 시스템반도체 등 아직 쫓아가는 분야는 격차를 축소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초고속컴퓨팅·미래 모빌리티 등 핵심 전략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또 "민간 수요가 높은 핵심 데이터를 선제적으로 구축·개방하고 제조·보건·금융 등 개별 운영되는 데이터 플랫폼을 데이터 통합 지도로 통합 구축해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디지털 뉴딜은 정부가 지난해 7월 14일 확정·발표한 정책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마련한 국가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다. 2025년까지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등과 함께 한국판 뉴딜로 키워 디지털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당시 정부가 확정·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르면 디지털 뉴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정부 인프라·서비스 등 우리 강점인 ICT를 기반으로 디지털 초격차를 확대하는 동시에 '디지털 국가+비대면 유망산업' 육성해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계획을 보면 먼저 디지털 신제품·서비스 창출 및 우리 경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전 산업의 데이터·5G·AI 활용·융합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38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일자리 56만7000개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에도 나선다. 전국 초중고·대학·직업훈련기관의 온·오프라인 융합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기반 구축 및 교육 콘텐츠 확충 추진을 목표로, 2025년까지 총 사업비 1조3000억원을 들여 일자리 9000개를 창출한다.

비대면 사업도 육성한다. 의료·근무·비즈니스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비대면 인프라 구축을 통해 관련 비대면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2025년까지 2조5000억원을 들여 일자리 13만4000개를 만들 계획이다.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도 적극 추진한다. 안전·편리한 국민 생활을 위한 SOC 핵심 인프라 디지털화, 도시·산단·물류 등 스마트화로 연관 산업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2025년까지 15조8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19만3000개를 창출할 예정이다.

계획 자체는 그럴 듯하다. 특히 사회 모든 분야로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기적절한 대책이라 칭찬할 만하다. 문제는 실행이다. 디지털 혁명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투자시기를 놓치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