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1.06.18 18:40

금통위원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 완화 조금씩 조정해야"… IBK투자증권 "내년 상반기서 올해 4분기로 수정"

(자료제공=한국은행·픽사베이)
(자료제공=한국은행·픽사베이)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연내 인상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연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열어 연 0.00~0.25%의 기준금리를 동결키로 결정했다. 다만 금리전망 점도표에서 향후 금리인상을 예상한 위원 수가 증가하면서 기존의 2023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전망이 2023년 2회 인상으로 변경됐다.

지난 3월 회의에서는 다수의 연준위원들이 2023년까지 정책금리가 제로금리 수준에서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으나 6월 회의에서는 18명의 연준위원 가운데 13명이 2023년도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특히 11명의 위원이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하면서 연준의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였다.

이에 한은 기준금리의 인상시점도 내년에서 올해로 당겨지는 모습이다. 현재 한은도 시장에 인상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1일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앞서 이 총재는 5월 27일에도 "시장에 시그널을 줘야 한다는 것에 대해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며 "지금은 코로나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비하기 위해 이례적인 수준으로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하고 있는데 경제가 호전되면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도 지난 10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브리핑에서 "기준금리를 1~2차례 금리 인상하는 것은 긴축으로 볼 수 없다"면서 금리 인상론에 불을 지폈다.

연 0.50%의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 결정한 지난 5월 27일 금통위에서도 위원들의 조정발언이 오간 것으로 확인됐다. 한은이 공개한 의사록을 살펴보면 한 의원은 "최근의 실물·금융 상황과 앞으로의 경기 및 물가 흐름을 감안할 때 코로나 충격에 대응한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다소 조정하는 것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은 "최근 여러 저명한 학자와 시장전문가들은 현재 같은 매우 완화적인 금융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지나치게 낙관적인 투자를 초래해 결국 급격한 시장조정이 발생하게 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며 "금융불균형의 확대는 금융시장의 복원력을 크게 약화시켜 대내외 충격에 우리 경제를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지난해 코로나 위기에 대응해 조성된 완화적 금융상황이 이제는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향후 실물경기의 추가 확대 여부, 물가 경로 추이, 그리고 가계부채를 비롯한 금융불균형 위험의 심화 가능성 등을 주시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금씩 조정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과 "코로나 충격에 대응해 취한 이례적으로 완화적인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를 정상화해 나가는 과정이 지나치게 미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보였다.

이처럼 한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점이 앞당겨지는 모습이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코로나 회복세를 확인하기 이전까지는 정책 조정을 보이지 않겠다던 지난해와는 확연하게 다른 분위기"라고 평가했다.

특히 "의사록을 통해서도 일부 위원들은 상당히 매파적인 시각을 드러냄으로써 연내 금리 인상 시그널을 보냈다"며 "비둘기파 위원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부 언급되고 있는 연내 두 차례 인상보다는 한차례 인상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판단했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전망을 통해 내년 상반기 중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최근 한은 창립 기념사와 부총재보의 브리핑을 계기로 첫 인상이 4분기 경으로 당겨질 수 있다고 기존 전망을 수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급격하게 컨센서스가 변경되면서 3분기 인상 의견도 대두되고 있으나 백신 접종 속도와 신규 확진자 수 추이, 민간 소비 회복 조짐,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 등 금융 불균형 정도, 대외 통화정책 정상화 여부 등의 요인을 점검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8월 수정 경제전망을 확인하고 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