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벼리기자
  • 입력 2016.05.24 15:07

최근 15년 새 '부모는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이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반대로 '사회가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0명 중 5명에 달했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부양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부양특성과 정책과제'(김유경 보사연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부양의 책임자를 가족이라고 인식한 비중이 1998년 당시 89.9%에서 2014년 31.7%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내용은 통계청의 ‘사회조사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다.

반면 사회 혹은 기타(스승, 선후배 등)가 부모부양의 책임이 있다는 생각은 1998년 2.0%에 불과했던 것이 2014년에는 51.7%로 절반을 넘어섰다.

가족 중에서 부모부양을 누가 책임져야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도 바뀌어왔다.

장남에게 부양의 책임이 있다는 인식은 1998년 22.4%였지만 2014년에는 2.0%로 극히 낮아졌다. '아들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 역시 7.0%였던 것이 1.1%로 줄었다. 대신 '자녀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인식이 15.0%에서 24.1%로 많아졌다.

보고서는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1인가구의 증가와 가족해체의 심화”를 들었다.

실제로 1인가구의 비중은 2000년 15.5%에서 2010년 23.9%로 늘어난 반면 확대가족(3세대 이상 거주)은 그사이 12.5%에서 6.2%로 감소했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의 비중 또한 75.0%에서 66.6%로 감소했지만, 사별·이혼 가구는 각각 14.8%에서 19.0%로 늘어났다. 자녀와 부모가 동거하는 비중도 1998년 49.2%에서 2014년 28.4%로 줄었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친밀도도 점차 하락했다.

보사연의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 부모와 전화 통화하는 사람의 비중은 휴대전화 등의 보급으로 1998년 74.5%였던 것이 2004년 79.5%, 2008년 79.1%, 2011년 83.6% 등으로 높아졌지만, 2014년 조사에서는 72.9%로 도로 크게 떨어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부양관은 효를 기반으로 하는 가족부양에 집중됐지만, 가족주의 약화와 소가족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가족부양이 감소하고 국가·사회에 의한 공적 부양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적 부양은 국가가 책임을 지고, 정서적 부양은 가족이 담당하도록 공적 부양시스템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함께 고령층의 고용을 개선하고 사회보장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노후준비지원 프로그램을 내실화해 노부모의 경제 상황을 도와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