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동연
  • 입력 2016.06.21 15:18

[뉴스웍스=이동연] 21일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으로 최종 결론난 영남권 신공항 논란의 시작점은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6년 12월 노무현 대통령은 김해공항이 포화상태에 이를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신공항 추진을 공식 지시했고 1년 뒤 정부는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1단계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 이후 이 사업을 30대 국책사업으로 지정하고 신공항 건설을 본격 추진했다.

2009년 4월 5개 후보지가 발표되면서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가 떠올랐으나 양쪽 지역의 갈등이 불거졌다.

심각한 대립이 계속되자 당시 정부는 2차 용역결과 발표를 당초보다 연기한 후 결국 2011년 “타당성 조사결과 최종 후보지였던 부산 가덕도가 38.3점, 밀양은 39.9점으로 두 지역 모두 사업 착수의 기준이 되는 50점에 못 미쳐 탈락됐다”며 신공항 계획을 백지화시켰다. 당시 후보지 주민 반발이 워낙 심해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까지 했다.

그러나 2012년 박근혜·문재인 두 대선 후보가 공약으로 내걸면서 신공항 논란은 다시 불붙게 됐다.

해마다 이용객이 늘어난 김해공항의 과포화도 신공항 건설 재추진에 한몫했다. 국토연구원은 2009년 당시 조사에서 “2020년이 돼서야 김해공항 국제선 연간 이용객이 566만1000여명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미 지난해 이용객이 595만여명까지 늘어나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의 수용 능력(540만명)을 50만명 이상 초과했으며 2020년에는 이용객이 800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올 정도다.

국토교통부는 2013년부터 영남권 신공항 건설의 재검토에 들어가 지난해 6월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 신공항 입지 선정 용역을 발주했다. 사전타당성 검토용역을 국내기관이 아닌 외부기관에 의뢰해 공신력을 확보하고 불필요한 논쟁을 불식시키겠다는 취지에 따른 것이다. 1년간의 작업을 끝낸 ADPi는 20일 입국했으며 불필요하게 발생할 만한 시비를 차단하기 위해 21일 용역결과를 제출 받은 직후 곧바로 공개했다.결과를 토대로 국토부는 사업계획서를 마련하고 기획재정부는 한국개발연구원(KDI)를 통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