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한동수기자
  • 입력 2015.11.11 16:03

정부 지원없이 '자율주행車' 상용화는 불가능...세계는 2020년 상용화 목표

‘글로벌 톱5’ 현대자동차가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를 앞세워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시장의 고급 세단 자동차 시장을 공략한다.

현대차는 지난 10일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남양연구소에서 내 달 출시를 앞 둔 에쿠스 후속'제네시스 'EQ900(해외명 G90)'을 공개했다. 1200명의 전담연구원이 4년동안 신차 개발에 매달렸다고 한다.

현대차는 ‘EQ900’을 공개하며 ‘인간 중심의 진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기도 했다.

운전자가 없어도 달리는 자동차를 구현해 낸 소위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막을 알리기 위한 상징적인 구호이다. 그런데 시장에선 (신형 제네시스 EQ900이 럭셔리 브랜드로써 1세대라는 것을 감안하더라고) ‘철강중심의 진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반응이다.

고속도로 진입시 자율주행시스템을 갖춘 현대차의 '제네시스EQ900'. 국내에선 12월부터 시판될 예정이다.

‘인간 중심의 진보’라는 신차 ‘제네시스EQ900'의 차별화된 기술에 대해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철판부터 럭셔리 차량에 맞춰 맞춤형 강판을 사용했다“며 ”초고장력 강판을 적용, 골격이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신형 제네시스는 샤시기술과 후륜구동 주행성능과 안정성 등이 세계 일류 수준으로 검증됐다“며 ”설계 단계부터 계열사인 현대제철의 초고장력강 기술이 본격적으로 적용, 뼈대부터 다른 차량“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현대차는 최근 벤틀리의 수석디자이너 루크 동커볼케를 영입, 후속 모델의 세련된 디자인에도 공을 들일 계획이다.  완성차 생산업체로써 안전과 디자인은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 자동차 산업의 최대 화두는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자율주행자동차다.

운전자가 없어도 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자동차’는 총 4단계로 분류되며 독일과 미국의 완성차업체들은 3단계정도의 기술 개발에 진입했다. 현대차의 기술은 2단계 초반 진입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차의 경우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에 상대적으로 늦게 뛰어들었지만,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해선 국가적인 인프라 및 ICT기업과의 협업이 전제돼야한다.

현대차는 그동안 포니 신화를 일으키며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부각 시켜왔으나, 이번 만은 다르다. 성실과 열정만으로는 불가능한것이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이기 때문이다.

김범준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자율주행자동차는 ▲자동차 외부환경을 인식하는 기술 ▲인식된 정보를 종합해 가속·정지·선회하는 기술 ▲판단된 정보를 이용, 속도조정이 포함된 제어기술 등이 필요하다”며 “이런 기술은 기존의 센서(초음파, 카메라, 레이다 등으로 구성)만으로는 환경 및 지형에 따라 오판할 위험이 있어, 연결기반인식기술(V2X3)과 같은 정밀 측위 기술이 필요하며, 이는 운행중인 자동차와 교통인프라는 물론 보행자들까지 연결해주는 무선통신기술이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즉 정부차원의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구축 ▲자동차업계와 ICT업계의 협업체계 없이 불과 5년앞으로 다가 온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시대(한국을 포함한 주요 완성차생산업체가 선언)는 열릴 수 없다는 얘기다.

김 연구원은 “어느새 자율주행자동차의시대는 미래의 어느 시점부터 열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시작됐다고 봐야한다”며 “미국이나 독일의 경우 정부차원의 전폭적인 규제완화와 예산지원을 통해 자율주행의 수준을 점차 높여 가고 있는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내달부터 국내 시장에 선보일 ‘제네시스EQ900'도 신호등이 없는 고속도로 주행시 일부구간(톨게이트 통과 후)에선 자율주행이 가능한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하지만, ‘연결기반인식기술’ 즉, 다른 차량들과 무선통신을 통한 외부인식을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실효성에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김 연구원은 “제네시스EQ900의 자율주행시스템은 자율주행차의 전초 단계라고 볼 수 있다”며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그리고 완성차·ICT업체간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없이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는 이뤄질 수 없다”고 말했다. “물론 국가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법제정 및 예산 지원도 선행돼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