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상근기자
  • 입력 2015.11.13 15:07

버락 오바마(사진) 미국 대통령이 저성장 상태인 세계 경제를 살리기 위해 각국이 확장적 재정정책을 쓸 것을 촉구해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의 12월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한편 그 여파가 시장의 우려대로 글로벌 경제에 부메랑이 되지 않도록 각국이 적극 대처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미국 월가에서는 이제 금리인상 그 자체보다는 인상 폭과 속도를 조절하며 부정적 파장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12일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기고한 글에서 "G20국가들이 아직도 저성장이라는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며 "모든 사람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강한 성장을 하려면 각국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5∼16일 터키 안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있어 G20회의에서 이를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공화당과 민주당이 2016년과 2017년 회계연도 예산을 800억 달러(92조 7000억 원) 늘리는데 합의했다”며 “각국이 단기 수요와 투자를 떠받칠 수 있는 재정정책을 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유일한 엔진이 돼서는 안 된다"며 다른 나라들도 경기 부양을 위한 행렬에 동참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는 그동안 미국이 자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 회복을 위해 양적완화 정책을 7년 넘게 이어왔다는 점을 상기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에서 인플레이션 신호가 나타나 금리인상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지만 글로벌 경제에 주는 부정적 파급을 우려해 1년넘게 그 시기를 늦춰왔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란 지적이다.

즉 세계 각국이 미국의 노력에 맞춘 동조조치를 취하지 않아 아직 글로벌 경기는 바닥을 기고 있으며 이같은 상황의 책임은 금리 인상기로 가야하는 미국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려 했다는 분석이다.

오바마는 나아가 금리인하 등 적극적 경기부양책을 시도하는 EU나 일본이 아닌 G2 중국 을 직접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수출과 제조업 중심의 경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중국이 소비 주도의 경제로 전환해야 하고 중산층의 소비를 늘리는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기부진이 심화되면서 국제시장에 직접적 타격을 주고 있는 만큼 중국 정부가 내수부양 정책을 과감하게 내놓고 시장개방도 글로벌 수준으로 속히 진행할 것을 압박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