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1.04.02 09:28

이억원 기재차관 "2분기 물가 오름폭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어…적극 대응"

(자료제공=통계청)
(자료제공=통계청)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석유류 가격이 1년 만에 상승 전환하면서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1%대 오름세를 시현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1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16(2015년=100)로 전년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월(1.5%)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전월(1.1%)에 이어 두 달째 1%대 상승세를 시현했다. 

3월 소비자물가를 품목성질별로 보면 상품은 1년 전에 비해 2.5%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는 5.0% 하락했으나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이 각각 13.7%, 0.7% 올랐다.

우선 농축수산물은 전년동월 대비 13.7% 상승했다. 전월(16.2%)보다는 둔화됐으나 작황부진 및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3월중 농산물은 19.2%, 축산물은 10.2%, 수산물은 1.8% 각각 올랐다. 농산물 중 채소류는 18.8% 상승했다.

품목으로 살펴보면 파(305.8%), 사과(55.3%), 국산쇠고기(11.5%), 달걀(39.6%), 쌀(13.1%), 고춧가루(34.4%), 돼지고기(7.1%) 등은 올랐으나 귤(-5.4%), 무(-12.6%), 양배추(-22.2%), 호박(-6.9%), 토마토(-2.4%), 당근(-12.3%), 전복(-8.3%)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0.7% 상승했다. 가공식품은 1.5%, 석유류는 1.3% 각각 올랐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가 오르면서 공업제품은 지난해 3월(1.3%) 이후 처음으로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는 도시가스(-10.3%), 전기료(-2.1%), 지역난방비(-2.6%) 등이 내리면서 5.0% 하락했다.

서비스는 집세, 개인서비스를 중심으로 전년동월 대비 0.7% 상승했다. 특히 집세는 전세(1.4%), 월세(0.6%) 등이 올라 1.0% 상승했다. 개인서비스는 농축산물 가격 상승이 외식물가에 반영되면서 1.8% 상승했다. 반면 공공서비스는 고등학교납입금(-100.0%), 휴대전화료(-1.2%) 등을 중심으로 2.0% 하락했다.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지수는 107.95로 1년 전보다 1.5% 올랐다. 식품은 5.0% 상승했으나 식품 이외는 0.5% 하락했다. 전월세포함 생활물가지수는 1.5% 올랐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는 106.86으로 전년동월 대비 1.0%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06.41로 0.6% 올랐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2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회의 겸 제8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1.5%로 상승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올해 전체 소비자물가의 경우 물가안정목표인 2%를 상회할 가능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나 현재 추세와 지난해 2분기에 낮았던 물가수준을 감안할 때 올해 2분기 물가 오름폭은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2분기 물가안정을 위한 선제적인 관리대응체제 가동을 통해 일시적 물가상승이 과도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중심으로 물가 리스크를 상시 점검하고 관계기관·소비자단체 등의 시장감시 기능을 제고하면서 지자체와의 물가안정 협업체제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농·수산물 가격 조기 안정, 원자재 변동 리스크 대응 강화, 서비스·가공식품 업계와의 소통강화 및 지원확대 등 분야별 대응방안도 마련하겠다"며 "지방공공요금 안정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해 요금 조정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인상이 불가피한 경우 물가여건이나 서민 부담 등을 고려한 단계적 인상, 인상시기 분산 등을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