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윤현성 기자
  • 입력 2021.05.04 16:36

소득·고용·교육 등 양극화 진단 목표…각 부처 산재된 통계 자료 공유·연계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4일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뉴스웍스=윤현성 기자] 정부가 소득·자산, 고용, 교육, 주거, 건강 등 각 분야에서 우리 사회의 최소 수준과 집단 간 격차, 정책적 대응 상태 등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통합지표를 개발한다.

교육부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사회 구성원 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역동성 저하와 집단 간 갈등 심화가 우려된다"며 '사회통합지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사회통합지표 체계는 삶의 주요 영역에서의 '사회적 포용·이동성'과 '사회적 자본' 형성 현황을 기준으로 사회통합 수준을 입체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자료제공=교육부)

사회적 포용·이동성의 경우엔 소득, 고용, 교육, 주거, 건강 등 세부영역으로 구분해 기본적 삶의 질 보장을 위한 최소 수준과 집단 간 격차, 정책적 대응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예정이다.

특히 기업규모·산업유형·성별 등 집단별 임금수준이나 이주배경 학생 현황 등에 대해 기존의 조사 통계가 아니라 통계청·국세청 등의 행정자료를 연계·활용해 객관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기존 통계로 파악하지 못했던 소득 계층 간 이동성 실증 분석을 위해 국세청(소득데이터베이스)-통계청(인구·가구데이터베이스)을 연계하여 개인·가구 단위 소득 패널이 구축된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신뢰·참여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주관적 인식 위주 지표로 구성되며, 데이터에 기반한 지표 산출을 위해 기부금 현황·자원봉사 참여현황 등 행정자료를 함께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교육 영역 사회통합지표 개발안 예시. (표제공=교육부)

정부는 안정적인 지표 산출을 위해 국세청, 통계청과 각 관계부처가 보유한 자료를 공유·연계하여 지표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렇게 생산된 사회통합지표를 활용하면 지금은 각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조사한 통계자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료로 취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예컨대 각 소관부처가 따로 발표한 소득 정보(국세청), 인구가구 DB(통계청), 일자리 행정통계 DB(통계청) 등의 자료를 취합해 '지역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소득 정보와 건강보험 데이터(보건복지부)를 활용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유병률 차이 및 변화를 살펴볼 수도 있다.

사회통합지표 개발을 주관하는 교육부는 9월까지 세부지표를 마련하고, 데이터 입수를 위해 연말까지 각 부처와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내년엔 지표를 시범 산출해 오류 검증 작업을 거치고, 2023년 말부터 개발이 완료된 지표부터 순차적으로 공표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