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전다윗 기자
  • 입력 2021.05.07 18:03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이 7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KTV 유튜브 캡처)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이 7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KTV 유튜브 캡처)

[뉴스웍스=전다윗 기자] 의료계를 중심으로 집단면역에 대한 회의적 관점이 제시되는 가운데, 정부가 당초 목표인 '11월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수준의 코로나19 감염 재생산지수를 유지하면 더 이른 시기에 방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7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지난주 국내 코로나19 감염 재생산지수는 1.0에 약간 못 미치는 상황이다. 감염 재생산지수가 작을수록 집단면역도가 설령 낮더라도 백신의 효과가 일찍, 그리고 크게 나타날 수 있다"며 "목표로 하는 11월 집단면역 형성은 충분히 가능하다. 심지어 11월 이전부터 지역사회에 방어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하는 동시에 유행도 통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현재 정부가 제시한 집단면역 형성 기준인 '국민 70% 항체 형성'은 감염 재생산지수가 2.8 수준일 때를 고려한 수치다. 지금처럼 낮은 감염 재생산지수를 유지하면 항체 형성 비율이 더 적어도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권 부본부장의 설명이다. 그는 "가령 감염 재생산지수 1.5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국민의 3분의 1만 면역을 형성하면 코로나19 유행을 잠재울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나온다"고 했다. 

정부가 11월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하다고 강조한 이유는 집단면역에 대한 회의적 시선을 우려해서로 보인다. 특히 의료계를 중심으로 집단면역의 개념 자체가 모호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추세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학교 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지난 3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정부의 정책 목표인 11월 집단면역 달성. 그러나 집단면역의 실체는 무엇인지, 그 목표를 달성하면 국민 생활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 설명은 없다. 많은 국민들의 예상과 달리 접종률 70%에 도달한다고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