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하반기 경제·산업전망 세미나 개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7일 오후 2시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실장(국제금융연구실)은 세계경제에 대해 올해 3.5% 성장해 2012년 이후 4년 연속 3%대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박 실장은 미국·유로존·일본 등 선진국은 경기회복이 가시화되지만, 중국 등 신흥국은 부진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박 실장은 엔저 장기화로 향후 일본 수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하반기 중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에 관해서는 유럽중앙은행(ECB)과 BOJ(일본은행)의 양적완화가 계속 진행될 예정이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재정 규모도 현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어서 글로벌 유동성의 급격한 축소는 발생하지 않아 자본유출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도훈 산업연구원장은 국내 실물경기에 대해 투자 중심으로 내수가 개선되는 상황 속에서 수출이 부진하다고 진단하며, 금년 2.9% 내외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금리인상 관련 불안, 중국 성장둔화 폭 확대 여부, 그리스 사태 등 전반적으로 하방위험이 우세하다고 예상했다.
김 원장은 산업경쟁력 측면에서 엔저 장기화와 저유가 기조는 주요산업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하며, 새로운 산업을 모색하기 위해서 주력산업의 변신, 신기술산업, 서비스(문화)와의 결합 등을 강조했다.
김 원장은 올 하반기 국내 주력산업의 경기회복은 기회·위험요인의 혼재 속에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자·자동차·철강 산업은 부진세가 지속되고, 조선 산업은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이 상존하면서 뚜렷한 회복세를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또 건설·석유화학산업은 수요증가가 기대되는 등 업황 호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