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예상대로 두 달 연속 동결된 기준금리

2015-05-15     신탁

깜짝 뉴스는 없었다. 한국은행이 5월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은 15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1.75%를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은 두 달째 이어진 것으로 작년 8월, 10월, 올해 3월 등 3차례, 총 0.75% 포인트나 내린 뒤 안정감을 찾은 것 같다. 한국의 경제를 책임지는 수장들과 전문가들은 현재 한국 시장 상황에 만족감과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마지막 기준금리 인하가 결정되고 사상 최초로 1.75%라는 저금리 시대를 연 이후, 한국 경제는 부동산과 주식과 같은 자산시장이 활성화되고 소비심리가 살아나면서 경제가 완만히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4월 말 경제동향간담회에서도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2분기의 경기 흐름이 향후 회복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현재 회복세는 한국은행 입장에서 만족스러우며 2분기가 끝난 후에도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앞으로도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어려운 상황이 돌아오고 추가로 조치가 필요할 경우가 생긴다면 또 다시 금리가 내려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열어둔 것이다.

한국 경제는 분명 자산시장을 중심으로 실거래가 활성화되고 이를 소비시장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소비도 살아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는 지난 4월 한 달 동안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8조5,000억 원이나 늘어나는 불안요소도 존재하고 국외적으로도 불안요소는 많아 안심하기는 이르다.

한국은행의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금융시장 참가자, 금융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결과지만 한국 경제를 흔들 요소들이 각지에 만연해 있어 낙관하기는 힘들다. 유승민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국내 경기가 여전히 부진하고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벌써 여러 차례 하향 조정되는 점을 생각해보면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은 여전히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