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부진 직격탄"…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31.4% 급감
DS부문 5.12조, 1년전 대비 '반토막'…매출 76.78억 '3분기 기준 사상 최대'
[뉴스웍스=전다윗 기자] 삼성전자가 주력 사업인 반도체 업황 악화로 올해 3분기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매출은 분기 기준 최대치를 달성하는 등 선방했으나, 영업이익은 30% 이상 급감했다.
삼성전자는 27일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76조7800억원, 영업이익 10조85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79% 증가했다. 이는 3분기 기준 최대 수준으로, 연간 기준으로도 전년도에 이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메모리가 고객사 재고 조정 등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플래그십 스마트폰이 판매 호조를 보이고 파운드리와 중소형 패널이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하며 견조한 매출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1.4% 감소하며 타격이 컸다.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든 것은 지난 2019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 반도체를 비롯, 스마트폰, TV 등의 수요가 줄어든 게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삼성전자의 주력 사업인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반토막이 났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매출 23조200억원, 영업이익 5조12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0조600억원) 대비 49% 이상 줄었다.
SDC(디스플레이)는 3분기 매출 9조3900억원, 영업이익 1조9800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DX(모바일) 부문은 3분기 매출 47조2600억원, 영업이익 3조5300억원을 기록했다. 세계 시장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에서도 폴더블폰과 웨어러블 제품 판매로 호조를 보였다.
VD(영상디스플레이)는 프리미엄 중심 판매 확대를 통해 시장 리더십을 강화했으나 수요 감소와 비용 증가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했다. 생활가전은 판매 믹스를 개선했으나, 소비 부진 속에서 재료비와 물류비 부담이 지속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분기를 전망하며 "글로벌 IT 수요 부진과 메모리 시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운드리와 SDC에 대해서는 실적 개선세를 유지하는 한편, DX는 수익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